- 영문명
- Controlling the Therm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Silicate Glasses for Development of Advanced Mold Flux Systems
- 발행기관
- 한국세라믹학회
- 저자명
- 조중욱(Jung-Wook Cho)
- 간행물 정보
- 『세라미스트』제25권 제3호, 277~28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evelopment of the advanced mold flux is always mandatory to enhance both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continuous casting of steels. Especially, the increasing demands for high alloy steels production and high speed casting reveals serious contradiction between two principal functions of mold flux: lubrication and controlling heat transfer.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atic needs, some innovative research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MAE (Mixed Alkali Effect) has been examined in alumino-borosilicate-based mold system to stabilize alkali cation and aluminum association, which enables chemically stable glassy mold flux film during casting of high alloy steels. Non-Newtonian mold fluxes could be developed by addition of Si3N4 or SiC due to the increase of stiffness of polymeric structure, which would be beneficial to satisfy the contradictory requirements of viscosity at mold top surface and mold wall. Some innovative ideas for controlling mold heat transfer without deteriorating the lubrication have been examined by dispersion of nano-size metallic particles and by modification of prenucleation motif. All these trials are closely related with glass science and engineering. Therefore, it should be highly beneficial to enhance the collaborative research activities between glass and metallurgy society for further development of advanced functional mold flux systems.
목차
1. 서론
2. 몰드플럭스의 구조와 조성
3. 몰드플럭스의 열물성
4. 몰드플럭스의 결정화 제어
5. 요약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연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용 초박형 유리의 화학강화
- 실리케이트 유리의 전열물성 및 윤활기능 최적화 및 몰드플럭스로의 활용
- 모노리식 전고체 무기 전기변색 스마트 윈도우 연구 개발 동향
- 조성 변화를 통한 상용 소다석회유리의 내후성 향상
- 카메라 렌즈용 광학 유리 소재 핵심 특성과 기술개발 현황
- Quasi-2D Ruddlesden-Popper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의 형성 메커니즘의 이해
- 디스플레이(LCD/OLED) 파유리/폐유리의 가치있는 재활용
- 친환경 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발광 다이오드의 연구 동향
- 다양한 광전자 응용을 위한 산화니켈 합성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이중매개효과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웨어러블 로봇 기반 위상 궤적 분석을 활용한 비대칭 보행 평가: 재활 운동 전략 적용을 위한 파일럿 연구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인식, 인공지능 리터러시 및 간호정보활용역량 간의 관계분석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