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별 주택의 시장근본가격(market fundamental price)추정에 관한 실증연구
이용수 28
- 영문명
- Study on the Estimation of House Market Fundamental Price by Region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박헌수(Park Heon Soo) 김순용(Kim Soon Yong)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0권 제3호 (통권 제57호), 47~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가치모형을 기반으로 주택가격의 시장근본가격을 추정하여 실제 주택매매가격과 비교하였다. 이때 세가지 가정을 통해 모형을 설정하였는데 첫 번째는 임대소득이 확률임의보행을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두 번째는 기대 임대소득증가율과 임대소득/주택매매가격비율을 통해 추정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이자율에서 임대소득증가율을 뺀 것과 임대소득/주택매매가격비율을 통해 추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지역이다. 그리고 시간적 범위는 2001년 8월부터 2022년 4월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주택매매가격과 각 모형별 주택의 근본가격의 차이의 양상은 인천을 제외한 다른지역은 비슷였으며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네 개의 시기로 나눠지는 모습을 보였다. 첫 번째 시기는 2002년~2005년, 두 번째 시기는 2006~2011년, 세 번째 시기는 2012년~2015년 마지막은 2016년~2022년이다. 둘째, 세 가지 모형에 따라 추정된 주택의 시장근본가격은 시기별, 지역별로 변동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모든 지역에서 동일한 모습이었는데 첫 번째 모형의 추정치가 시기별, 지역별로 가장 큰 변동성을 보인 반면 세 번째 모형의 추정치가 가장 작은 변동성을 보였다. 셋째, 실제 아파트매매가격 대비 추정된 시장근본가격은 세 번째 모형의 추정치가 다른 모형의 추정치에 비해 변동성이 적으며 실제 아파트매매가격을 잘 따라감을 보였다. 넷째, 시기별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다르게 나타났다. 주택의 근본가격에 실제매매가격이 거의 근접했던 2006년~2011년을 보면 세모형의 추정치가 모두 실제치에 근접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으로 이자율의 영향보다는 임대소득증가율에 의해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에 2016년 이후에는 임대소득 증가율보다는 이자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마지막으로 주택의 시장근본가격은 대구,대전,울산은 모든 시기에서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으나 서울,부산,광주,인천은 모형별로 다르게 나타나며 지역적 차이가 존재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market fundamental price of house price was estimated from August 2001 to April 2022 in based on the present value model and compared with the actual house sale price.
As a result, First, the patter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housing sale price and the market fundamental price of each model was similar in other regions except Incheon, and although it was not exactly the same, it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Second, The market fundamental price of houses estimated according to the three models showed different volatility by period and region. Third, the estimate of the third model showed less volatility compared to the estimates of other models and closely followed the actual apartment sale price. Fourth, Factors the interest rate and rent growth rate which are factors constituting the market fundamental price had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perio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 모형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귀분석에서 다중 기준 함수를 이용한 모델 선택과 공간회귀모델 적용 연구
- 순환골재의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아파트 가격 상승 요인에 관한 연구
- 주택조세강화가 수도권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농공단지 활성화를 위한 사업 추진유형에 관한 연구
- 도시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사전타당성검토 개선방안 연구
- 개발제한구역 훼손지복구사업의 개선방안
- 생태 사상에서 본 소우 후지모토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 오피스텔 건축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문화가치와 주민참여행동의 관계에서 지역사회애착도의 매개효과
- 커뮤니티 분석을 통한 연령층별 방문인구 이동의 공간적 패턴 변화 연구
- 소형오피스빌딩 매매사례를 통한 매매가격 및 지역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가치관 유형과 재무인식 및 투자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도시개발사업의 제도적 미비점과 개선방안
- 개업공인중개사의 전문성 인식유형별 특성
- 공공분양주택의 수요특성과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상업용부동산의 자산관리서비스 품질이 재계약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동산 PF 금융기간의 신탁사 의존에 관한 연구
- 고령자 서비스 결합주택 소요와 영향요인 분석
- 도시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제도의 폭염분야 지표 개선방향
- 지역별 주택의 시장근본가격(market fundamental price)추정에 관한 실증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