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s of Chinese Consumers in Live Commerce: Focusing on Value-based Adop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호사기(HU SIQI) 류미현(Ryu, Mi Hyun)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25권 제3호, 111~1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라이브 커머스는 실시간 상호 소통, 편의성, 현실감 등 장점을 가지고 있어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에 대한 다원화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차 대중들의 소비패턴을 변화시키고 있다. 라이브 커머스는 전자상거래 업계의 새로운 발전 추세로써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커머스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가치기반수용모델, 이용자 특성 변수를 사용하여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상호작용성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지각된 혜택 변수 중에서 유용성과 즐거움, 지각된 희생 중에서 기능적 위험, 이용자 특성인 개인 혁신성 및 소비자지식이 모두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둘째, 라이브 커머스 이용시 지각된 가치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들의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만족이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용성과 지각된 가치 간에 상호작용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Live commerce has advantages such as real-time mutual communication, convenience, and realism, so consumers can not only satisfy the diversified desire for online shopping, but also gradually change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public. Live commerce will continue to grow as a new development trend in the e-commerce industry. Therefore,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s the live commerce, the effect of Value-based Adoption Model and user characteristics variables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s the live commerce was analyz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vity was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efulness and pleasure among perceived benefits variables, functional risk among perceived sacrifice, and personal innovation and consumer knowledge a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erceived value. Second, the perceived value of using live commer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live commerce of consum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s. Finally, it was verifi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vity between usefulness and perceived value was significant. Therefore, the company needs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interactivity of live commerce by realizing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소비자의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 연구
- 친환경 소비절제 성향이 친환경 광고를 통한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구매 시점 광고의 인지 활용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종 투자사기 ‘리딩방’ 소비자피해 경험의 영향요인 분석
- 외식 소비자의 웰빙 추구성향이 외식업장 추천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 Pay-What-You Want 하에서의 관람의사 및 지불의사에 스토리텔링과 미술작가 인지도가 미치는 영향
- 진보와 보수, 소비자 불매운동을 향한 서로 다른 시선
- 지속가능소비의 도덕적 허가 효과: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과소비경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증 여성장애인의 고용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노동시장에서의 이중차별 중심으로
-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영향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고용의무사업체 장애인 근로자 일자리 이동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