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wareness Utilization of Point-of-Purchase Advertisement and Purchase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박순찬(Park, Sun Chan) 오상도(Oh, Sangdo) 김준환(Kim, Joonhwan)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25권 제3호, 23~3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인지 활용도가 구매 시점 광고(Point of Purchase Advertising)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구매 시점 광고에 노출된 소비자의 인지 활용도가 광고에 대한 신뢰도와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과, 광고에 대한 신뢰도 및 호감도가 제품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정을 위하여 한 브런치 카페를 연구 매장으로 선정하고 신규 제품을 출시하여 카페를 방문한 소비자에게 해당 제품의 구매 의도를 물어보았다. 연구 결과 구매 시점 광고에 노출된 소비자의 인지 활용도는 광고에 대한 신뢰도 및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광고에 대한 신뢰도와 호감도는 제품의 구매 의도를 상승시켰다. 매개 모형 분석 결과, 광고에 대한 신뢰도와 호감도는 소비자의 인지 활용도와 제품의 구매 의도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매 시점 광고의 효과는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인지 활용도라는 개인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영향은 인지 활용도가 광고의 신뢰도와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usage of awareness with point-of- purchase advertisem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To study the relationship, we analyzed how consumers’ use of awareness influences the reliability and liking of advertisements. In addition, we studied how the reliability and liking of advertisements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To test our research hypotheses, we made point-of-purchase advertisements for a new product in a coffee shop and asked about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to visitors of the store. The study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point-of-purchase advertisements depends on the awareness utilization of the advertisements. When consumers use the awareness with point-of-purchase advertisements more, they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advertisements as reliable information sources. The high reliability of the advertisements leads to high purchase intentions. In addition, the usage of awareness makes consumers like the advertisement more. The liking of the advertisements also increased purchase intentions. 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awareness utilization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point-of-purchase advertisements because awareness utilization increases the reliability and liking of the advertise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Ⅲ. 연구방법 및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소비자의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 연구
- 친환경 소비절제 성향이 친환경 광고를 통한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구매 시점 광고의 인지 활용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종 투자사기 ‘리딩방’ 소비자피해 경험의 영향요인 분석
- 외식 소비자의 웰빙 추구성향이 외식업장 추천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 Pay-What-You Want 하에서의 관람의사 및 지불의사에 스토리텔링과 미술작가 인지도가 미치는 영향
- 진보와 보수, 소비자 불매운동을 향한 서로 다른 시선
- 지속가능소비의 도덕적 허가 효과: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과소비경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증 여성장애인의 고용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노동시장에서의 이중차별 중심으로
-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영향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고용의무사업체 장애인 근로자 일자리 이동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