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연구
이용수 74
- 영문명
- Antioxidant and Cytotoxicity in Skin Cell of the Trichosanthis Cucumeroidis Radix Extract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유선희(Seon-Hee You) 문지선(Ji-Sun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39권 제3호, 417~42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쥐참외뿌리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 및 피부 세포에서의 독성을 확인하여, 피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지표가 되는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고, 피부에서의 Neutral red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 하였다. 섬유아 세포인 HDF cell에서의 높은 생존율이 확인되었으며, B16F10 melanoma cel와 RAW 264.7 cell에서는 5 μg/mL부터 세포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 세포에서의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영문 초록
We tried to check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oxicity of trichosanthis cucumeroidis radix extracts in skin cells, and check the possibility of their use as a functional material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on the skin.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hich are indicators of antioxidant activity of trichosanthis cucumeroidis radix extracts, were confirmed, and cytotoxicity was confirmed using Neutral red assay in the ski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increased concentration-dependent. High survival rates in fibroblast HDF cells were identified, and cell survival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ed from 5 μg/mL in melanocytes B16F10 melanoma cells and inflammation-related macrophages RAW 264.7 cells. Heresults of this study are believed to be available as basic data for antioxidant activity of trichosanthis cucumeroidis radix extracts and skin cells.
목차
1. Introduction
2.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
4.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뉴미디어 플랫폼 시대의 스포츠미디어 가치
-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연구
- 바바수오일이 손상된 모발 개선에 미치는 영향
- 해죽순 추출물의 미백활성 평가
- 간호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임상실습 감정노동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생활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Zebrafish as a research tool for human diseases pathogenesis and drug development
-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수행 능력에 관한 연구
- 전화코칭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독거 노인의균형능력, 악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에 대한 지식과 두려움이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