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이용수 5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최정명(Jung-Myung Choi) 김선미(Sun-Mee Kim)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8 No.2, 173~18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C군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회수된 자료 중 최종 21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감사성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감사성향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감사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감사성향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감사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므로 자아존중감은 부분 매개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증진을 위하여 감사성향이 심리적 자원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shows a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final 211 copies of the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for the study, which was collected as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y located in Group C.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1.0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first-phase gratitude disposition on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gratitude disposition was significant to self-esteem.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second-phase gratitude disposi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gratitude disposition was significant to psychological well-being. Since the three-stage gratitude disposition was significant to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can be seen to have partial medi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gratitude disposition was necessary as psychological resources to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resul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gratitude disposition and self-esteem in order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에 따른 대학생의 개인방역태도 조사
-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의 NCS 지원 웹서비스 분석
-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병원시설의 출입 인원 관리를 위한 새로운 인원 계수 방법
- 강원도 영북권역 다빈도 질환 추세분석
-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교육을 위한 실습모델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후 만족도
- 오마하체계에 따른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와 필요도
- 전기-후기노인의 안전의식 및 건강요인이 손상 및 손상기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언택트형 소셜 VR 영상기반 투어 스케줄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