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
- 영문명
- The Effects of Humanistic Knowledge and Empathy Ability on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세영(Se-Young Kim)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8 No.2, 95~10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간호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의 간호대학생 250명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인문학적 소양, 공감능력, 문화적 역량의 정도를 측정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문학적 소양, 공감능력, 문화적 역량 정도를 측정하였다. 평균 인문학적 소양 정도는 2.50점, 공감능력 평균 3.40점, 문화적 역량 평균 3.33점으로 나타났다.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 인문학적 소양과 문화적 역량,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도 약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학업성적, 인문학적 소양, 공감능력은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인자로, 예측인자는 문화적 역량 변인을 40.0%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개선 및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istic knowledge and empathy ability on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A convenience sample of 250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The average scores were 2.50 for humanistic knowledge, 3.40 for empathy ability, and 3.33 for cultural competence. Humanistic knowledg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ultural competence. Also, the empathy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umanistic knowledge and cultural competence. Finally, cultural competence, empathy ability and level of academic score have shown to influence cultural competence. The research founds that humanistic knowledge, empathy ability and level of academic score influenced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and quality of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cultural competency enhancement.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에 따른 대학생의 개인방역태도 조사
-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의 NCS 지원 웹서비스 분석
-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병원시설의 출입 인원 관리를 위한 새로운 인원 계수 방법
- 강원도 영북권역 다빈도 질환 추세분석
-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교육을 위한 실습모델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후 만족도
- 오마하체계에 따른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와 필요도
- 전기-후기노인의 안전의식 및 건강요인이 손상 및 손상기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언택트형 소셜 VR 영상기반 투어 스케줄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