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교육을 위한 실습모델 연구
이용수 41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actice Model for Practical Education for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최준영(Joon-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8 No.2, 83~9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양성을 위한 대학에서 EMR 교육시스템을 활용하여 교육할 수 있는 실습모델을 연구하였다. 현재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해 도입된 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 평가·인증 기준에 보건의료정보관리를 위한 실습과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서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편람에서 교육환경으로 제시한 실습프로그램을 EMR 교육시스템에서 실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였다. 또한 프로그램별로 보건의료정보관리 현장실습지침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실습모델을 연구하였다. 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용 EMR시스템을 이용하여 마스터데이터관리, 환자등록, 의사처방, 진료비 수납, 건강보험청구관리, 서식관리, 퇴원등록, 암등록, 미비기록관리, 보건의료데이터관리, 보건의료통계, 정보보호/보안관리에 대한 실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습모델을 연구하였다. 대학에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과정을 수행하여 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임으로써 보건의료정보관리 전문가로써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실습교육을 통하여 의료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의료서비스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보건의료정보관리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practical model fo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using the EMR education system at universities for nurturing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rs was studied. Currently, there is no practical training course for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standards for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introduced to strengthen the job competency of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rs. Accordingly, the program was constructed so that the practice program suggested as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Manual can be practiced in the EMR education system. In addition, a practical model tha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n-site practice guidelines for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for each program was studied. Using the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EMR system, master data management, patient registration, doctor prescription, medical cost calculation, health insurance claim management, form management, discharge registration, cancer registration, unrecorded management, health care data management, health care statistics, A practice model was studied so that practice on information protection/securit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It will be possible to play a role as a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xpert by raising the quality level of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through systematic and standardized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 courses at universiti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xperts who develop and manage medical services based on medical data analysis through practical training of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r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고찰
5.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에 따른 대학생의 개인방역태도 조사
-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의 NCS 지원 웹서비스 분석
-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병원시설의 출입 인원 관리를 위한 새로운 인원 계수 방법
- 강원도 영북권역 다빈도 질환 추세분석
-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교육을 위한 실습모델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후 만족도
- 오마하체계에 따른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와 필요도
- 전기-후기노인의 안전의식 및 건강요인이 손상 및 손상기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언택트형 소셜 VR 영상기반 투어 스케줄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