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5
- 영문명
-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세루(Se-Ru Kim) 진재섭(Jae-Sup Jin)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9 No.1, 153~16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I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 관계와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프로그램을 활용한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 직무스트레스는 약간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관계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는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주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조직적환경요인, 물질적지지, 행동적 요인이 직무스트레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83%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The degree of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was measured for 250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City I, and the relationship and relative influence were analyzed. For data proces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s a result,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at a slightly higher level than average, and job stress at a slightly lower level. Second, th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83% explained that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material support, and behavioral factors affect job str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provid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at can affect the reduction of job stress of in-service teachers.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포커스 그룹면담을 통한 발달장애아동의 성교육 실태와 요구
- 한국 여성에서 혈청 ferritin과 25-hydroxyvitamin D 및 대사 증후군의 관련성
- 추간판 장애 환자의 의료이용 현황 및 특성
- 코로나 19 상황에서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이 아동·청소년기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강원도 영북권역 65세 이상 노인인구 입원이용 분석
-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 분석
-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동포 간병인의 환자안전문화인식 및 환자안전지식이 환자안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보건소와 병원방문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따른 환자 만족도 연구
-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캡사이신, 디하이드로캡사이신 및 노니바마이드(PAVA)의 정량
- 근로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정신적 피해 요인 분석
- 임상 치과위생사와 치과기공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직업윤리
- 대학생 성별에 따른 비만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
- EMR 인증제 교육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 모델 연구
- 일기연구를 통한 간호대학 온라인강의 학습정서 탐색 연구
-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료이용자의 보건의료제도 만족도와 변화 요구도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