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용수 47
- 영문명
- A Study on Perceived Stress, Self-esteem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안성아(Seong-Ah Ahn) 정은영(Eun-Yeong Jeong) 공정현(Jeong-Hyeon Kong)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9 No.1, 51~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들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전남지역 1개, 경남지역 1개 간호대학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3,4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4월 1일부터 동년 4월 30일까지 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7.0%이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ived stress, self-esteem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how these variables affect clinical practice stress. Participants consisted of 164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third and fourth years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t two nursing universtities located in Gyonganam and Jeonnam, and agreed to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orm April 1 to April 30, 202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Win statistics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study found that clinical preactice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e stress wre perceived stress,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27.0%.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reduce perceived stress and improve self-esteem in order to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포커스 그룹면담을 통한 발달장애아동의 성교육 실태와 요구
- 한국 여성에서 혈청 ferritin과 25-hydroxyvitamin D 및 대사 증후군의 관련성
- 추간판 장애 환자의 의료이용 현황 및 특성
- 코로나 19 상황에서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이 아동·청소년기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강원도 영북권역 65세 이상 노인인구 입원이용 분석
-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 분석
-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동포 간병인의 환자안전문화인식 및 환자안전지식이 환자안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보건소와 병원방문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따른 환자 만족도 연구
-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캡사이신, 디하이드로캡사이신 및 노니바마이드(PAVA)의 정량
- 근로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정신적 피해 요인 분석
- 임상 치과위생사와 치과기공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직업윤리
- 대학생 성별에 따른 비만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
- EMR 인증제 교육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 모델 연구
- 일기연구를 통한 간호대학 온라인강의 학습정서 탐색 연구
-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료이용자의 보건의료제도 만족도와 변화 요구도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