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9
- 영문명
- The Effect of Online Substitution Class Caused by Coronavirus (COVID-19)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박미마(Mi-Ma Park) 신지훈(Ji-Hoon Shin)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9 No.1, 77~8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간호학 교과목의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G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중인 학생으로 회수된 자료 중 최종 113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주도학습 평균점수 3.32±0.39점, 학업성취도 3.32±0.75점, 학습만족도 3.31±0.78점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호하는 학습방법과 학업성취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에게 간호학 교과목을 온라인 강의 운영에는 학습자의 학습방법을 사전에 평가하여 온라인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및 수업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online lecture substitution for subjects due to COVID-19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and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the final 113 nursing students of data recovered a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wer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was 3.32±0.39, academic achievement 3.32±0.75,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3.31±0.78. Factors affecting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preferred learning methods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instruction and operate classes to improv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by evaluating the learner's learning method in advance when running nursing school subjects as online lectures for nursing student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포커스 그룹면담을 통한 발달장애아동의 성교육 실태와 요구
- 한국 여성에서 혈청 ferritin과 25-hydroxyvitamin D 및 대사 증후군의 관련성
- 추간판 장애 환자의 의료이용 현황 및 특성
- 코로나 19 상황에서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이 아동·청소년기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강원도 영북권역 65세 이상 노인인구 입원이용 분석
-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 분석
-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동포 간병인의 환자안전문화인식 및 환자안전지식이 환자안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보건소와 병원방문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따른 환자 만족도 연구
-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캡사이신, 디하이드로캡사이신 및 노니바마이드(PAVA)의 정량
- 근로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정신적 피해 요인 분석
- 임상 치과위생사와 치과기공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직업윤리
- 대학생 성별에 따른 비만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
- EMR 인증제 교육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 모델 연구
- 일기연구를 통한 간호대학 온라인강의 학습정서 탐색 연구
-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료이용자의 보건의료제도 만족도와 변화 요구도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