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align 기능을 이용한 흉부 전・후 방향 검사 시 적절한 X선관 각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Study of Appropriate X-ray Tube Angle for the Anterior-posterior Chest Radiography Using S-align Function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박명주 주영철 김민석 육정원 김한용 김동환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제45권 제4호, 299~30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uses the 'S-align' function to present a reference value of the X-ray tube angle for the realization of an image similar to that of the chest PA image during chest AP radiography. This study targeted dummy phantom and used a 17"×17" DR image receptor. The irradiation conditions were 110 ㎸p, 160 ㎃, 50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X-ray and the image receptor was set to 180 ㎝ and 110 ㎝, respectively. The end of the catheter was placed at the 11th thoracic height to indicate the nasogastric tube. In the case of lung apex length measurement, the mean value of measurement was 30.53±0.47 in PA. T 0°, TCA 5∼25°, TCE 5∼15° were 21.07±0.29, 27.60±0.21, 34.13±0.44, 39.86±0.31, 45.96±0.61 ㎜, 54.13±0.37 ㎜, 16.16±0.46 ㎜, 9.81±0.35 ㎜, 2.75±0.30 ㎜, respectively. For the depth of the catheter end, the average value measured at PA was 6.70±0.31 ㎜. T 0°, TCA 5∼25°, TCE 5∼15° were 15.72±0.38 ㎜, 24.10±0.50 ㎜, 29.24±0.86 ㎜, 34.35±0.35 ㎜, 41.06±1.08 ㎜, 48.07±0.38 ㎜, 12.85±0.25 ㎜, 7.92±0.36 ㎜, 3.01±0.39 ㎜, respectively. The length of the lung apex was similar to that of chest PA when the angle of incidence was adjusted from 5° to 10° in the leg direction, and the depth of the catheter tip was most similar when the X-ray tube angle was incident at 10° in the head direction. Therefore, To change the X-ray tube angl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amination during the chest AP radiography using ‘S-align’ function is considered necessary.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V.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align 기능을 이용한 흉부 전・후 방향 검사 시 적절한 X선관 각도에 관한 연구
- 진단 초음파 검사자의 작업 관련 근골격계질환 연구
- 삼차원 뇌혈관조영술에서 테이블 높이와 확대율 조절에 따른 수정체 선량 감소에 대한 연구
- 방사성요오드(I-131) 격리병실 치료 관리를 위한 환자의 체외방사선량률과 상주 보호자의 피폭선량평가
- 갑상선 탄성 초음파 검사 시 칼라 오버레이 패턴의 유용성
- 허혈성심장질환 진단에서 심장초음파의 국소벽운동이상과 심장효소의 정확성 평가
-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한 임신한 여성 핵의학 종사자의 모체 장기 및 태아선량 평가
- 이동형 방사선검사에서 영상의 왜곡과 선량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