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 of Auditor’s Length of Audit on Corporate Tax Avoidance
이용수 16
- 영문명
- The Effect of Auditor’s Length of Audit on Corporate Tax Avoidance
- 발행기관
- 한국세무학회
- 저자명
- 배성호(Seongho Bae)
- 간행물 정보
- 『세무와회계저널』제20권 제6호, 137~1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품질의 감사는 기업의 지속적 성장의 필수 요소이며, 이를 위해서는 외부감사인의 행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외부감사인의 계속감사 기간을 통해 외부감사인이 기업의 조세회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외부감사인의 독립성이 조세회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한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총 2,588개의 기업/연 자료를 근거로 기업의 조세회피와 외부감사인의 계속감사기간과의 관계를 검증한다. 실증분석 결과, 외부감사인의 계속감사기간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조세회피가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계속감사기간이 증가할수록 외부감사인은 고객에게 유리한 조세회피 방안을 제공하여 기업이 조세회피를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계속감사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사인의 독립성 훼손 가능성이 있음을 시시한다. 실증 분석 결과의 강건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된 4가지 조세회피 측정치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수행한 후 공통요인을 추출한 새로운 조세회피 측정치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회귀식의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해 2단계 모형분석(2-stage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추가분석 결과는 주요 분석 결과와 동일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외부감사인 독립성 문제를 계속감사기간과 조세회피 간 관계를 통해 실증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특히 외부감사인의 독립성은 감사품질 등 외부감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독립성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못한다는 한계로 인해 독립성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아울러 조세회피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행동 특성을 검증함으로써 조세회피와 외부감사인 관련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아울러 2019년 11월 1일부터 한국에서 시행예정인 감사인 주기적 지정제의 도입효과를 예측하는데 본 연구의 실증결과가 기여할 것이라 예상된다.
영문 초록
Understanding of external auditor’s behavior is important for higher audit quality. And the audit quality is an essential factor of firms’ sustainabi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auditor behaviors toward corporate tax avoidance via auditor tenure.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uditor independence issue is reflected in corporate tax avoidance.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auditor tenure and corporate tax avoidance by Using 2,588 firm-year observations from KOSPI in the period 2001-2010. We find that corporate tax avoidance increased with auditor tenure, reflecting, the client-beneficial tax planning, which minimizes tax payments that could be more offered when the auditor tenure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the longer auditor tenure, the more likely auditor’s independence could be compromised. For the robustness of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our tax avoidance measures used in this study. And 2-stage analysis was performed. The additional analyses results supported the main resul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tending the auditing and tax literature on the examination of auditor behavior toward corporate tax avoidance. Secondly,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auditor tenure on corporate tax avoidance, this study proposes additional evidence regarding the debate on auditor independenc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edicting the effect of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for auditors scheduled to be implemented in Korea from November 1, 2019.
목차
Ⅰ. Introduction
Ⅱ. Prior research and hypothesis development
Ⅲ. Research design and sample
Ⅳ. Additional analyses
Ⅴ. Conclus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지배기구와 외부감사인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법인세부담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성 인증의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인증기준과 인증보고서를 중심으로
-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시가 적용의 개선방안: 평가기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