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업가정신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업 멘토링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Moderating Effects of Corporate Mentoring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Satisfaction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정상철(Jung, Sang Chul) 김영진(Kim, Young Jin)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1권 제1호, 119~1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기업 멘토링 기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연구를 통해 국내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이 창업만족도와의 직접적인 영향관계와 기업 멘토링을 조절효과로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에서는 부산, 경남지역의 선도대학 창업아이템사업화 수혜기업과 대학 창업동아리, 대학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일반 창업자 대상으로 설문지를 메일 또는 직접 방문으로 배포하여 250부 자료 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성, 타당성 분석을 하고 다중회귀 분석 및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업가정신에서 혁신성과 자율성만이 창업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접적인 효과로는 창업가정신에서 자율성만이 창업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때 기업 멘토링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업자와 조직원이 모두 기업 문화가 경직되지 않는 환경에서 자유롭고 자율적으로 일을 계획하고 수행할 때만이 멘토의 멘토링을 잘 받아 들여서 창업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창업선도대학의 창업지원단과 같은 창업지원기관에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porate mento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satisfaction.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examine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on the start-up satisfaction. In addition, indirect impacts of corporate mento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satisfaction. Data was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hrough e-mail or direct visit to the 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Start-up Leading University Project, college start-up clubs, companies in university business incubating centers, and general entrepreneur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Empirical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reveal that such categories as innovation and autonomy in entrepreneurship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and the corporate mentoring has a moderating effect only when autonomy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tart-up satisfaction. It is implied that an improvement of start-up satisfaction may be attained only when mentoring programs are well accepted by entrepreneurs and their workers while working in a free and autonomous environment with a flexible corporate culture. This study may provid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art-up support organizations such as start-up support groups of Start-Up Leading University Projec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모형과 가설의 설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과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오피스환경 도입에 따른 확산요인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가정신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업 멘토링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Technology Innovation, Human Capital and R&D Effects on Economic Growth
-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기업의 대리인 문제와 정보비대칭성
- 환율과 환율변동성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 한국자동차기업의 이란진출을 위한 전략제안
- 한국 노년기 자산관리의 국제비교
- 제품다각화와 국제다각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명품매장에 대한 서비스품질과 자아확장성이 명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BOP 비즈니스모델 연구
- Result Based Evalua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Peace Operation of the ROK Military Contingent to UN Mission
- A Study on the Trade Intensity of Garments in Myanmar
- 전략적 제휴 당사자 간의 이익 및 위험지각이 관계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Strategy of Renewable Energy of Sri Lanka for Energy-based Economic Development: Case of Wind Power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