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and Relation with the Real Economy in Asian Major Countrie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최남진(CHOI NAM JIN)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3권 제2호, 3~2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미․중 무역전쟁, 유럽 브렉시트 불확실 확대, 미국 금리 정상화 등 세계적인 경제, 정치, 금융에 대한 리스크가 확대됨에 따라 수출 위주의 성장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국가의 환율변동성이 확대되어 실물경제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출위주 성장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주요국의 환율변동성을 추정하여 비교 분석하고 각국 환율변동성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SVAR모형을 통해 추정하고 동태적 변화를 확인해보았다. 분석결과 한국, 일본, 중국 모두 각국의 환율변동성 확대가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에 따라 실물경제를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달러 환율의 경우, 엔/달러와 위안/달러 환율에 비해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원/달러 환율변동성 상승은 설비투자에 부정적인 큰 충격을 주었으며 그 충격이 오래 지속되어 실물경제 변동성도 확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통화당국은 환율변동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확대하고 이를 알릴 수 있는 기업과의 소통채널 확보가 요구되며 주요 교역국 간 통화스와프 등의 확대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 역시 환율을 헷징 할 수 있는 적극적인 금융지식 습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Along with the US-China Trade War, the expansion of uncertainty of European Brexit, and the US interest rate normalization, the risks of global economy, politics, and finance are on the rise. Accordingly, the countries that adopt the export-oriented growth strategy face the expansion of exchange rate volatility, and thereby the concern over shrinking real economy is spreaded widely.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d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of major Asian countries that adopt the export-oriented growth strategy,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and had a comparative analysis. In addition, how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of each country influences its real economy was estimated with the use of SVAR model so as to analyze its dynamic change. As a result, the extended exchange rate volatility of all of Korea, Japan, and China negatively influenced private consumption and facility investment and thereby shrank real economy. In particular, the won-dollar exchange rate had a relatively larger fluctuation than yen-dollar exchange rate and yuan-dollar exchange rate. In addition, a rise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volatility gave a negative impact on facility investment, and its long continuance was found to lead to expanding the fluctuation of real economy. Therefore, monetary authorities need to monitor exchange rate volatility more and 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with business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xpand currency swaps between main trade partner countries. Firms also need to obtain financial knowledge actively to hedge exchange rat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환율변동성 추정 및 국가별 비교
Ⅳ. 국가별 환율변동성과 실물시장 관계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문화예술 부문의 재정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 OTT 서비스 이용자의 추가구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PM 모델을 중심으로
- 기혼 여성 팬덤활동의 제약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