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푸코의 질병의 공간화와 중동 호흡기 증후군

이용수  27

영문명
Foucault’s Spatialization of Disease and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발행기관
한국의철학회
저자명
이민구(Lee, Min-goo) 홍세연(Hong, Se-yeon)
간행물 정보
『의철학연구』제20권, 65~8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임상의학의 탄생에서 푸코는 질병의 공간화를 통해 다양한 층위에서 질병을 분석하였다. 의학 속의 질병, 몸에 자리 잡은 질병, 사회집단 속에 존재하는 질병이 각각 1, 2, 3차 공간에서의 질병이다. 2012년 중동에서 처음 보고된 중동 호흡기 증후군(메르스)이 2015년 한국에도 전파되어 의료사회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많은 후유증을 남겼다. 중동 호흡기 증후군은 푸코가 지적한 세 공간 모두에서 의미 있는 분석이 가능하다. 새로이 발견되어 질병의 본질에 대한 파악이 안 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 의료 문화에서 개인의 의료 행동의 특징과 전염병의 관계에서, 인간의 이동능력이 크게 향상된 현대 사회에서 전염병 환자와 전염병 의심 집단의 관리 문제에서 각각 1, 2, 3차 공간 속 중동 호흡기 증후군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요구된다. 한국을 포함한 현대 사회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증대되고 개인의 이동성이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에, 파급력이 큰 전염병과 같은 질병의 관리와 대처에는 의학 지식의 발전 뿐 아니라 질병 인식이라는 인문학적 성찰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푸코의 공간화를 적용한 인문 의학적 인식의 틀을 적용하여 최근 새로이 발생한 질병으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준 중동 호흡기 증후군을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In his work The Birth of the Clinic, Michel Foucault spatialized disease and subjected it to a multi-dimensional analysis. Foucault classified disease in medicine, the body itself, and the social group, into what he respectively called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space. First reported in the Middle East in 2012,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became contagious overnight in the Republic of Korea in 2015, and has left an unpleasant legacy. Foucault’s tertiary spatialization scheme offers a fruitful framework for a meaningful analysis of MERS. Conducting a thorough analysis of MERS in these three spaces can help to address issues such a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is new disease, the relationship of the epidemic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behavior of individuals in Korean medical culture, and managing infected patients along with groups of suspected cases in a highly mobile world. In our health obsessed contemporary society, managing contagious diseases not only requires advances in medical knowledge itself, but also a humanities oriented perceptive on them. In this study, we have applied Foucault’s spatialization of disease scheme to modern medicine, and used the case of MERS, which recently had a notable impact on Korean society, to illustrate its value in helping us understand new diseases from both medical and social perspectives.

목차

요약문
1. 서론
2. 1차 공간 속의 중동 호흡기 증후군
3. 2차 공간 속의 중동 호흡기 증후군
4. 3차 공간 속의 중동 호흡기 증후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구(Lee, Min-goo),홍세연(Hong, Se-yeon) . (2015).푸코의 질병의 공간화와 중동 호흡기 증후군. 의철학연구, (), 65-85

MLA

이민구(Lee, Min-goo),홍세연(Hong, Se-yeon) . "푸코의 질병의 공간화와 중동 호흡기 증후군." 의철학연구, (2015): 65-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