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asmine: Feminine healing qualities related to the wisdom of salt - With a focus on sandplay therapy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박서희(Seohee Park)
- 간행물 정보
- 『상징과 모래놀이치료』제13권 제1호, 161~214쪽, 전체 5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9,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ymbolism of Jasmine, a character in Disney’s Aladdin films, whose archetype emerged as a compensation for what was lacking in a child’s consciousness through sandplay therapy. To understand the symbolism of Jasmine, this study was conducted regarding Jasmine’s origin and background by watching two films and reading related stories before analyzing the client’s sandpictures. A 7-year-old girl with symptoms of separation anxiety was the client in this study. The symbol of Jasmine, or the feminine healing qualities that help form a relationship through the wisdom of salt, emerged in the client’s sandpictures as the possibility of growth, light of consciousness, healing power, harmony with masculine energy, and a new image of family. The feminine principles that engage in relationships through the wisdom of salt is a value, encompssing us, that penetrates the times. The wisdom is discovered as an outcome of the pain that lead to growth. The sandplay process healed the client’s psychological difficulties while the Jasmine symbol gave her the strength and courage that she needed to form a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rough a new wisdom of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자스민의 기원 및 배경
Ⅲ. 영화에서의 자스민
Ⅳ. 모래놀이치료에서의 자스민
Ⅴ.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