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TiO₂ 전극 제조

이용수  4

영문명
Fabrication of TiO₂ Electrode Containing Scattering Particle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발행기관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저자명
이진형 이태근 김철진
간행물 정보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제18권 제2호, 57~62쪽, 전체 6쪽
주제분류
공학 > 산업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염료 감응 태양 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의 에너지 변환효율은 TiO₂ 전극의 입자 크기, 구조 및 표면 형태에 의존한다.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나노 크기의 아나타제 TiO₂는 많은 염료를 흡착할 수 있어 변환효율을 증가 시킨다. 또한 전극 내부에서 태양광의 산란을 증가 시키면, 염료가 태양광을 흡수하는 양이 증가하여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수열 합성법으로 합성한 TiO₂ 분말의 크기는 15-25 nm이고, 결정상은 구형의 anatase 상이다. 0.4 µm의 TiO₂ 산란입자를 합성한 나노 크기의 TiO₂ 분말에 혼합하여 전극을 제조하고, DSSCs를 제작한 후 변환효율을 측정하였다. 10%의 산란 입자가 포함된 DSSCs는 단락전류 3.51 mA, 개방전압 0.79 V, 곡선인자 0.619로 6.86%의 변환 효율을 나타 내었다. 산란 입자의 영향으로 단락전류밀도는 11% 증가하였고, 효율은 0.77% 증가하였다. 산란 입자가 포함되지 않은 DSSCs 보다 산란 입자가 전극으로 들어온 태양광을 산란시켜 전자-홀 쌍의 생성을 증가 시키고, 전자가 전극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가 감소하여 효율이 증가하였다. 10% 이상의 산란 입자는 전극 내부에 입자 크기의 큰 기공을 증가 시켜 효율이 감소하였다.

영문 초록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DSSCs (Dye-Sensitized Solar Cells) is dependent on the powder size, the structure, and the morphology of TiO₂ electrode. The higher efficiency is obtained with high surface area of the nanoanatase-TiO₂ powder adsorbed onto a lot more of the dye. Also, the enhancement of light scattering increases the efficiency with high adsorption of the dye. Powder size, crystalline phase, and shape of TiO₂ obtained by hydrothermal method have 15-20 nm, anatase and round. TiO₂ electrode has fabricated with the mixture of scattering TiO₂ particle with 0.4 µm in nano-sized powder. Conversion efficiency of series of DSSCs was measured with volume fraction of scattering particle. Photovoltaic characteristics of DSSCs with 10% scattering particles are 3.51 mA for Jsc (short circuit current), 0.79 V for Voc(open circuit potential), filling factor 0.619 and 6.86% for efficiency. Jsc was improved by 11% and enhancement of efficiency by 0.77% compared with that of no scattering particles. The confinement of inserted light by light scattering particles has more increase of the injection of exiton(electron-hole pair) and decrease of moving path in electron. Efficiencies of DSSCs with more than 10% for scattering particles have reduced with increasing the pore in the TiO₂ electrode.

목차

1. 서론
2. 실험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형,이태근,김철진. (2011).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TiO₂ 전극 제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18 (2), 57-62

MLA

이진형,이태근,김철진.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TiO₂ 전극 제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18.2(2011): 57-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