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택근무제도 사용이 근로자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성별효과 연구
이용수 150
- 영문명
- Gender discrepancies in the effect of Work From Home on the time use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김지현
- 간행물 정보
- 『여성연구』통권 제113호, 5~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29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2020년 자료를 사용하여 재택근무제도 사용이 남녀 근로자의 시간 사용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성향점수 가중치(Propensity Score Weights)를 적용한 선형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유급노동의 시간 변화에는 재택근무와성별의 교차항의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지 않은 반면, 수면시간과 가사노동시간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재택근무제도 사용이 가사노동시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고, 수면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 대비 여성에게서 더욱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에서의 재택근무 제도 사용이 성평등한 시간구성 및 일-생활균형 달성에 제한적인 역할을 하며, 오히려 전통적인 성역할 강화에 일조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재택근무 제도가 감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일시적인 대응책이 아니라 남녀모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또 다른 근로형태의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책 설계 단계에서성평등적 관점의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Due to Covid-19 pandemic, the working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chang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working from home affects the change in time use of male and female workers. To this end, propensity score weight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Korean Labor & Income Panel data 2020. Fir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telecommuting and gender was not confirmed in the change of time use in paid labour. In contrasts, the change of time use in domestic work and sleep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That is, the effect of working from home on increasing domestic work was stronger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effect on reducing sleep hours was stronger in women than in 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working from home in Korea plays a limited role in achieving gender-egalitarian time use and work-life balance, but rather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gendered division of labour. Finally, this study draw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labour market policy amid digital econom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적 난자동결’은 윤리적인가?
- 인신매매 피해자 식별기준에 대한 시론
- 가정친화적 교육・훈련 환경 조성
- 소셜미디어 뷰티 콘텐츠의 이용과 댓글 소비가 온정적 성차별 태도, 주도적 역할 수행에 대한 태도 및 집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자녀 여성관리자의 특성에 따른 일-가정 부정 전이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성별다양성과 성별임금격차가 기업의 생산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출산 양육기 여성의 일자리 질 변화 유형과 영향 요인
- 재택근무제도 사용이 근로자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성별효과 연구
- 아동성착취, 섹스팅, 온라인 그루밍
- 여성의 생계 부양 분담 정도가 육아휴직 사용에 미친 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NEW
- 여성학논집 제41집 2호 목차
-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의 어려움과 대처를 중심으로
- 노동시장은 성평등해지고 있나? : ‘젠더 갈등’과 노동시장의 성별 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