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침묵의 공간과 침묵 당한 여성들: 임권택의 《씨받이》 《아제아제 바라아제》 《서편제》에 나타난 가부장제의 권력 은폐와 미장센의 정치학

이용수  0

영문명
Silent Spaces, Silenced Women: Patriarchal Power and the Politics of Mise-en-Scène in Im Kwon-taek’s The Surrogate Woman, Aje Aje Bara Aje, and Sopyonje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김주현(Joo Hyun Kim) 강탁(Zhuo Kang)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42집 1호, 3~71쪽, 전체 6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11,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임권택의 대표작인 《씨받이》, 《아제아제 바라아제》, 《서편제》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이들 영화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침묵의 미학’이라는 모티프가 단순한 영화적 표현 장치를 넘어 성별에 따른 억압을 구조화하는 원리이자, 오리엔탈리즘적 수용의 장(場) 으로 작동함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접근한다. 자연과 실내 공간 간의 시각적 대비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여성 주체성이 어떻게 생산, 종교, 예술 전통이라는 교차 담론 속에서 체계적으로 지워지는지를 드러내며, 이러한 억압이 ‘숭고한 미학’이라는 외피를 통해 미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존 해석들이 침묵을 영적 초월이나 미학적 절제로 낭만화하는 경향이 있음을 비판하며, 본 논문은 침묵을 여성의 행위를 지우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유지하는 장치로 재위치시킨다. 이를 통해 연구는 단지 임권택 영화 속 여성의 지워진 목소리를 회복하려는 데 그치지 않고, 침묵 자체를 영화적 의미와 정치적 저항의 쟁점이 되는 장으로 재개념화한다. 이러한 분석은 임권택 영화의 예술적 가치를 찾는데 그치지 않고, 그의 시각적 문법 속에 내재된 권력 역학을 밝혀냄으로써 그 미학적 복합성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여성 재현의 윤리와 한국 영화에서 침묵의 정치성을 재고함으로써 페미니즘 영화 비평의 담론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ffers a feminist reinterpretation of Im Kwon-taek’s canonical films—The Surrogate Woman, Come Come Come Upward, and Sopyonje—arguing that the recurring motif of the “aesthetics of silence” functions not merely as a stylistic choice, but as a structural principle of gendered oppression and a site of Orientalist reception. Engaging critically with this motif, the research positions silence as a cinematic code through which patriarchal ideology is not only sustained but aestheticized. By analyzing the visual contrast between natural and domestic spaces, the study exposes how female subjectivity is systematically erased through intersecting discourses of reproduction, religion, and artistic tradition. This erasure is rendered culturally legible through a veneer of sublimity, disguising violence as beauty. Challenging dominant interpretations that romanticize silence as spiritual transcendence or aesthetic restraint, this work reframes silence as an ideological apparatus that regulates female agency and maintains patriarchal authority. Rather than merely seeking to recover the silenced voices of women, the study reconceptualizes silence as a contested site of cinematic meaning and political resistance. Far from diminishing the artistic value of Im’s films, this analysis reveals the power dynamics embedded in his visual language, enabling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his aesthetic complexity. Ultimately, this study contributes to feminist film criticism by rethinking the ethics of female representation and illuminating the politics of silence within the broader terrain of Korean cinematic modernity. 本研究将从女性主义观点出发,对林权泽的代表作《种女》、《揭谛揭谛婆罗揭谛》、《西便制》进行重新解释,这些电影中反复出现的“沉默的美学”主题思想超越单纯的电影表现装置使性别带来的压迫形成的原理,也是偏见之场从批判的角度看待它的运作。自然与室内空间的视觉对比分析,本研究的女性主体性如何生产、宗教传统艺术交叉谈论中系统地抹去判断,露出这种压迫“崇高美学”的外皮,通过美化正在逐渐展现。该论文批评了现有的解释存在将沉默浪漫化为精神超越或美学节制的倾向,并将沉默重新设置为消除女性行为的家长制意识形态的装置。通过这种方式,研究不仅是为了恢复林权泽电影中女性被抹去的声音,还将沉默本身重新概念化为电影意义和成为政治抵抗争论点的场所。这样的分析不仅停留在寻找林权泽电影的艺术价值上,还通过揭示他的视觉语法中内在的权力角色,使人们能够对美学的复合性进行更加精巧的理解。最终,该研究将重新考虑女性再现的伦理和在韩国电影中沉默的政治性,为扩大女权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방법론
Ⅲ. 임권택 영화 분석: 공간- 사운드를 통한 미장센과 침묵의 미학
Ⅳ. 임권택 영화의 글로벌 수용과 셀프-오리엔탈리즘의 감동코드: ‘생식의 침묵’, ‘종교의 침묵’, ‘예술의 침묵’
Ⅴ. 결론: 침묵의 감동을 넘어, 젠더적 해석으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현(Joo Hyun Kim),강탁(Zhuo Kang). (2025).침묵의 공간과 침묵 당한 여성들: 임권택의 《씨받이》 《아제아제 바라아제》 《서편제》에 나타난 가부장제의 권력 은폐와 미장센의 정치학. 여성학논집, 42 (1), 3-71

MLA

김주현(Joo Hyun Kim),강탁(Zhuo Kang). "침묵의 공간과 침묵 당한 여성들: 임권택의 《씨받이》 《아제아제 바라아제》 《서편제》에 나타난 가부장제의 권력 은폐와 미장센의 정치학." 여성학논집, 42.1(2025): 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