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duction, Consumption, and Trading of Tea in Pakistan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28권 제2호, 45~5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차는 현지에서 차이로 알려진 파키스탄의 전통 음료이자 국민 음료이다. 차는 오늘날 파키스탄에서 가장 사랑받고 있는 인기 있는 음료 중 하나이다. 차는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항산화성분과 비오틴을 함유하고 있다. 파키스탄은 자체적으로 고품질의 차를 생산하고 국제 무역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으나 적절한 장비, 연구 기관의 부재와 부적절한 관리로 인해 대규모의 차를 생산하기 어렵다. 본 고는 지역 사람들에게 더 많은 고용 기회 부여를 통해 생계 제공이 가능한 파키스탄 지역의 차 재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차 재배 관행을 조사하는 것에 있다.
                    영문 초록
Tea is a traditional beverage and the national drink of Pakistan and is locally known as “Chai”. Tea is loved throughout the length and breadth of Pakistan and remains one of the most popular beverages. Furthermore, it contains antioxidants and biotin, which boost the immune system. Pakistan has the potential to produce high-quality tea, which would increase exports, but due to a lack of appropriate equipment and research facilities and improper management, it is difficult to produce tea on a large scal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ea farming practices with the aim of increasing tea cultivation in the grassland areas of Pakistan to improve living standards and create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local people.
                    목차
Introduction
	                       
	                          Consumption of tea in Pakistan
	                       
	                          Tea cultivation and production in Pakistan
	                       
	                          Prospect of tea production in Pakistan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차(茶)명상의 명상체계에 대한 소고
- 칠면초로부터 고순도 Rutin 및 Narcissin의 동시 분리 및 정제
- 조선후기 일본의 주문 다도구의 양상
- [10]-Gingerol from Zingiber Officinale Reduces Oxidative Stress via the ERK/Nrf2/HO-1 Signaling Pathway in Human Keratinocytes
- 점필재 김종직의 차시 연구 - 도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 건조방식에 따른 홍차의 성분과 맛 차이
- Production, Consumption, and Trading of Tea in Pakistan
- 차 문화 및 산업 콘텐츠 개발을 위한 메타버스 사례 분석
- 가야지역 샘물의 수질 특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방풍 구조물 설치에 따른 옥수수 화분 비산 및 교차수분 저감 효과 연구
- Genetic stability analysis of in vitro micropropagated fire blight-resistant apple rootstocks
-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FLOWERING LOCUS T and TWIN SISTER OF FT floral integrator genes in Pak-choi (Brassica rapa ssp. Chinen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