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완(complementary) 트라우마 치료로서 기무(氣舞)에 대한 연구
이용수 81
- 영문명
- Investigation of Qimoo as a Complementary Trauma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제6권 제1호, 23~4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연구는 트라우마 생존자를 위한 새로운 보완(complementary) 트라우마 치료법으로서 기무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고 트라우마 치료에 기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체 중심(body centered) 트라우마 치료 이론들, 보완 트라우마 치료법과 기무의 이론적인 원리와 개념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트라우마 치료와 기무의 연관성 네 가지를 주장하였다. 기무는 안전성, 자율신경계 규제, 몸 알아차림, 개별성의 요소들을 통해 트라우마 생존자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기무 강사와 수업의 구조 및 내용에 대한 활용방안들은 전문가들이 트라우마 생존자 대상에 기무를 적응시키기 위해 제언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application and application methods of Qimoo as a novel complementary therapy for trauma survivor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body centered trauma therapy theories, complementary trauma therapies, and Qimoo’s theoretical framework were examined. Through this analysis, four different connections between trauma therapy and Qimoo were presented. Qimoo’s elements of safety, nervous system regulation, body awareness, and considering the individual are suggested to be useful for trauma survivors. Recommendations related to the Qimoo instructor, class structure, and class content are presented for practitioners to adapt Qimoo for a trauma survivor popul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이론적 배경
Ⅳ. 트라우마 치유에 기무(氣舞)의 적용 가능성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복합 외상을 경험한 슈퍼바이지의 역량 강화를 위한 슈퍼비전 연구: 신체심리치료와 현대정신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 친족 성폭력 피해 청소년의 치유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경험 사례 연구
- 무용 동작 학습 메타인지 교수:학습 전략 기초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1호 목차
-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치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대상아동의 자기표현과 관계성향상을 중심으로
- 음악적 동작 중심의 집단 음악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 표현력 및 사회적 기술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