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text difficulty among English reading question types in CSAT
 - 발행기관
 - 한국영어평가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English Language Assessment』Vol.17 No.1, 45~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different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text difficulty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mong English reading question types. The study first focused on comparing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different question types in the CSAT English reading test. Second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consistency of each linguistic features was maintained over a period of five years (2017-2021). CSAT reading passages conducted from 2017 to 2021 (for 2018-2022 college entrance) were collected. The types of each ques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identifying the main idea, identifying the details, identifying the context and discourse, indirect writing). Corpu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h-Metrix 3.0. The indices were selected for descriptive analysis, lexical diversity, cohesion and connectives; and syntactic complexity. A one-way ANOVA and Kruskal-Wallis H 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h-Metrix results.
The result showed the statistical differences in cohesion and coherence and lexical indices among the question types. In addition, the fluctuation of the coherence and cohesion indices was evident over five years (2017-2021).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nglish Language Assessment Vol.17 No.1 목차
 - Investigation of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for Formative Assessment Aligned with Primary English Classroom Activities
 -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성취 수준과 대학수학능력 영어 평가 수준의 일관성 문제
 -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성취 수준과 대학수학능력 영어 평가 수준의 일관성 문제
 - 동영상 기반 영어 듣기평가의 자막 유형이 EFL 학습자의 영어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 Investigation of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for Formative Assessment Aligned with Primary English Classroom Activities
 - Incidental Lexical Learning from Single-player Video Game
 - 절대평가 실시 이후 수능 영어 영역 문항 유형별 언어적 특성 및 난이도 비교
 - 중국, 베트남, 몽골 학생 영어발화 이해도 측정과 이해도가 영어연계 수업에 미치는 영향
 - The Inherent Text Difficulty Consistency of Parallel Translation Tasks in CET-4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 ChatGPT 기반 TOPIK 말하기 평가피드백 모형 개발 및 적용
 - AI 기반 피드백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서의 논점과 설계 근거
 
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