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sistency between the targeted achievement level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and the assessment level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English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영어평가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English Language Assessment』Vol.17 No.1, 11~4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onsistency between the achievement levels sta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and the national-level English test. The study first analyzed the target level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basic word list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EFR levels. Next, it compared them to those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of English that students take at the completion of public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examination of the difficulty levels of the CSAT included the English reading passages from 2016 to 2019 academic years and focused on the text read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argeted achievement level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gradually increased by school levels, reaching CEFR B2 level in all language skills by completing high school education. In contrast, the English reading section of the CSAT included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assages whose difficulty levels were higher than CEFR B2+. The required word knowledge was also found to be about 7,000- to 8,000- word frequency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lack of consistency betwee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the test with some relevant implication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nglish Language Assessment Vol.17 No.1 목차
- Investigation of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for Formative Assessment Aligned with Primary English Classroom Activities
-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성취 수준과 대학수학능력 영어 평가 수준의 일관성 문제
-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성취 수준과 대학수학능력 영어 평가 수준의 일관성 문제
- 동영상 기반 영어 듣기평가의 자막 유형이 EFL 학습자의 영어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 Investigation of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for Formative Assessment Aligned with Primary English Classroom Activities
- Incidental Lexical Learning from Single-player Video Game
- 절대평가 실시 이후 수능 영어 영역 문항 유형별 언어적 특성 및 난이도 비교
- 중국, 베트남, 몽골 학생 영어발화 이해도 측정과 이해도가 영어연계 수업에 미치는 영향
- The Inherent Text Difficulty Consistency of Parallel Translation Tasks in CET-4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 ChatGPT 기반 TOPIK 말하기 평가피드백 모형 개발 및 적용
- AI 기반 피드백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서의 논점과 설계 근거
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