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금시설 수용자의 미충족 의료 영향요인

이용수  80

영문명
Factors Affecting on unmet medical need in prison inmates: Applying the Gelberg-Andersen Behavioral Model for Vulnerable Populations
발행기관
한국교정복지학회
저자명
박성철(Park, Sung Chul) 김병현(Kim, Byung Hyun) 전동일(Chun, Dong Il)
간행물 정보
『교정복지연구』矯正福祉硏究 第77號,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금시설 수용자의 미충족 의료 현황과 영향 요인을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모형은 Gelberg-Andersen의 취약계층행동모형을 사용하였고 분석모형은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구금시설 수용자의 의료미충족률은 59.8%로 다른 취약계층에 비해 2∼6배 높았다. 둘째, 미충족의료 영향 요인 중 소인요인은 연령이, 가능요인은 운동시간, 취침조명 수면방해, 의무관 진료 경험이었고, 필요요인은 만성질환 등 건강문제, 의료과 이용 희망과 외부 진료 신청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약계층행동모형이 수용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며, 교정의료처우 개선을 위해 재정 확보와 함께 운동시간 확대 및 조도 조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unsatisfied medical condi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of prison inmates. For the research model, Gelberg-Andersen s vulnerable class behavior model was used, and for the analysis model,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medical non-compliance rate of prisoners was 59.8%, which was 2~6 times higher than that of other vulnerable groups. Second, the predisposing factor for unmet medical care was age. Also, enabling factors were exercise time, bedtime lighting, sleep disturbance, and experience of medical treatment. Moreover, the need factors were health problems such as chronic diseases, hopes to use the medical department, and experience of applying for external treat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철(Park, Sung Chul),김병현(Kim, Byung Hyun),전동일(Chun, Dong Il). (2022).구금시설 수용자의 미충족 의료 영향요인. 교정복지연구, 77 (1), 1-19

MLA

박성철(Park, Sung Chul),김병현(Kim, Byung Hyun),전동일(Chun, Dong Il). "구금시설 수용자의 미충족 의료 영향요인." 교정복지연구, 77.1(2022):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