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근 소년사법의 쟁점사항과 교정복지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356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cent Issues of Juvenile Justice and Correctional Welfare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저자명
- 옥필훈(OK PIL HUN)
- 간행물 정보
- 『교정복지연구』矯正福祉硏究 第77號, 43~7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소년범죄의 예방과 효율적인 대책마련이 중요하고, 이에 대하여는 성인범죄자와 달리 다르게 처우해야 한다는 국친사상에 바탕을 둔 소년사법의 정책과 논의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범죄통계자료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해석이 필요하지만, 이를 일반화하는 것은 현실에 맞지 않은 측면이 존재한다. 성인기로 가기 전단계에서 청소년들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정환경과 학교교육일 것이다. 가정환경에서는 부부관계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고, 부모의 자녀에 대한 사랑 등이 전제될 때 학교교육에서는 민주적인 책임감이 있는 사회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인성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제도하에서는 대학입시 등 경쟁구도에서는 학교현장에서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천성적으로 주어진 재능을 찾고 이를 통하여 진로를 설계하고 이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최근 회복적 사법논의 및 모델 등이 선보이고 있는 측면에서 이를 소년사법제도에 응용하여 책임감을 갖게 하지만 과거 부정적인 경험을 해소하고 치유하는 시스템 마련이 정책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영문 초록
Recent statistics on juvenile crime and practical discussions surrounding its characteristics agree that unlike adult offenders, juvenile offenders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However, the most important part in reality is the home environment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In the meantime, we need to listen to various educational achievements of South Korea, especially through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entrance exams and competition, but most of all, it is important to restore credibility in public education because it is an educational system that finds talents of South Korean students early on. We hav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juvenile crime in recent years. Looking at its characteristics, the juvenile crime is getting worse day by day and shows results that are never inferior to the recidivism rate of adult crime, so our society needs to reflect on whether it is doing a good job of dealing with juvenile crime. It is important to prepare an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juvenile crime through correctional treatment. It is also necessary to be fully aware of the various institutional problem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juvenile crime and to come up with policy alternatives to them. There is also a need to look positively at the serious discussion of the Restorative Prison Project, which give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rime and heals a negative experience. Therefore, the vicious cycle of juvenile crime will not be broken and serious discussions surrounding the fundamental causes of juvenile crime will be needed, as well as the continuous attention and activities of institutions and adults, and policy efforts will be needed in these areas. Adolescents in the 21st century are our future. As a precursor to becoming an adult, it is necessary to make a holistic effort to discover the dreams and talents of young people in the welfare state early, design career paths, and have a job as well as in homes, schools, and communities.
목차
I. 머리말
II. 최근 소년사법의 쟁점사항
III. 소년범죄에 대한 교정복지 실천방안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