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투시촬영에서 바륨 조영제와 팬텀 두께에 따른 DAP 변화

이용수  44

영문명
DAP Variation with Barium Contrast and Phantom Thickness in Fluoroscopy
발행기관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저자명
박재윤(Jae-Yoon Park)
간행물 정보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21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95~101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방사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투시 검사 시 바륨 조영제의 농도변화와 유무, 두께에 따른 피폭선량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선량평가를 위하여 중앙에 아크릴 큐브 (5 × 5 × 10 ㎝)를 넣을 수 있으며, 1 cm씩 두께를 변화할 수 있는 아크릴 팬텀 (25 × 30 × 30 cm)을 제작하였다. 아크릴 큐브에는 11 개 (100∼200% w/v) 농도의 바륨 현탁액 150 ml를 넣을 수 있도록 하였다. AEC, SID 115cm, FOV 30 x 30cm, 15 P/s, Filter Cu 0.2 mm의 촬영조건을 사용하여 아크릴판을 1 장씩 제거하면서 15cm까지 두께를 감소시켜 투시를 1 분간 시행하였으며, Spot 촬영하여 DAP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조영제 유무와 농도에 따라 실험하였으며, 재현성을 위하여 각 실험은 5 회 반복 실험되었다. 연구결과 바륨 농도에 따른 DAP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며, 바륨을 사용함에 따라 Fluoroscopy와 Spot촬영에서 각각 1.28 배와 1.15배 증가하였으며, 팬텀의 두께가 15 cm에서 25 cm로 증가했을 때 Fluoroscopy에서 4.76 배증가되었으며, Spot에서는 4.86 배로 증가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비만환자의 경우 투시촬영 시 과도한 방사선 피폭이 예상되므로 UGI보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내시경을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 the fluoroscopic examina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barium contrast agent and the change in exposure dose according to the thickness were measured. For dose assessment, an acrylic phantom (25 × 30 × 30 cm) was fabricated that could put an acrylic cube (5 × 5 × 10 cm) in the center and vary the thickness by 1 cm. The acrylic cube was made to contain 150 ml of a barium suspension of 11 (100-200% w/v) concentration. AEC, SID 115 cm, FOV 30 × 30 cm, 15 P/s, Filter Cu 0.2 mm shooting conditions were used. One minute trans-illumination was performed with one acrylic plate removed until the thickness was reduced to 15 cm. Spot shooting was performed to measure DAP. In the same wa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rast agent. Each experiment was repeated five times for reproducibility. As a result, there was no change in DAP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barium contrast agent. The results of fluoroscopy and spot imaging increased 1.28 times and 1.15 times, respectively, by using the barium contrast agent. As the thickness of the phantom increased from 15 cm to 25 cm, the results of fluoroscopy and spot imaging were increased by 4.76 and 4.86 times, respectively.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obese patients, fluoroscopy is expected to result in excessive radiation exposure. Therefore, endoscopy with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an UGI is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Ⅵ.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윤(Jae-Yoon Park). (2021).투시촬영에서 바륨 조영제와 팬텀 두께에 따른 DAP 변화.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2021 , 95-101

MLA

박재윤(Jae-Yoon Park). "투시촬영에서 바륨 조영제와 팬텀 두께에 따른 DAP 변화."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2021.(2021): 95-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