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시 예술의 미학적 실천

이용수  247

영문명
Participatory nature of Urban Arts and Aesthetics: Focusing on Virtual Reality Arts Projects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양소연(Yang, So-Yeon)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23권 제1호, 187~21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번 연구는 거리라는 일상의 공간에서 펼쳐지는 도시 예술이 자본주의 경제 체계의 획일성과 동일성이 지배하는 도시에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고 보고,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결합한 도시 예술 사례들이 갖는 실천적 속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들뢰즈와 가타리, 그리고 랑시에르는 예술이 갖는 실천적 속성에 주목하며 미학은 곧 정치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미학 혹은 예술이란 기존의 권력 관계 안에서 구조화된 고정된 사유의 틀을 벗어나는 일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예술은 본질적으로 정치와 다르지 않다고 본 것이다. 일상의 삶이 이루어지는 거리에서 만나게 되는 도시 예술이라는 미학적 행위는 거리를 걷는 사람들로 하여금 효율적 노동의 공간 구획이라는 기호로 기입된 근대의 도시 공간을 낯설고 이질적으로 감각하게 함으로써 사유와 행동에 변화를 일으킨다. 또한 오감을 활용한 체험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술이 적용된 예술은 시공간이라는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어 적용되는 예술로서 도시의 삶을 기존의 의미체계를 넘어 새롭게 사유하고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도시 예술은 언어의 재현 체계로 규정되지 않는 기호로서 끊임없는 의미생성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디지털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예술과 일상의 경계, 작가와 관객의 분할, 그리고 예술 향유와 사회적 참여의 이분법적 분리를 뛰어넘어 예술을 통한 사회 변화를 일상의 공간인 거리에서 실천하고 있다.

영문 초록

It is criticized that the principle of uniformity and identity increasingly affects all aspects of lives in this capitalist society and causes various social problems. In this situation, urban art drives social changes by providing the inspiration for creative thinking and acting,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fighting social challenges. This study analyz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aesthetics from urban artworks, and finds out a capability of urban art to make a social change in everyday lives and encourage ordinary people to engage in social action. Urban art as an art form usually displayed on the streets or on the building walls inevitably reflect everyday lives of the cities. Artworks applying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enable people to feel the world with all human sense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think and practice city life in a new way beyond the existing meaning system. Urban art is a sign that is not defined as a system of representation of language, and not only enables the continuous creation of meaning, but also break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daily life, the divis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audience, and the dichotomy between the enjoyment of art and social participation. Virtual art practices not only show the potential of art as a new social engagement activities but also make it possible to forecast how art and technolog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a better world as they stimulate people’s creativity.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 미디어 예술과 미학적 실천
Ⅲ. 가상현실 도시 예술 프로젝트: , <10,000 Moving Cities - Same but Different>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소연(Yang, So-Yeon). (2022).도시 예술의 미학적 실천. 지역사회학, 23 (1), 187-211

MLA

양소연(Yang, So-Yeon). "도시 예술의 미학적 실천." 지역사회학, 23.1(2022): 187-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