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치료 수퍼비전 형태에 따른 수퍼비전 만족도 조사
이용수 11
- 영문명
- Music Therapy Supervisory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Supervision Format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곽은미(Kwak, Eunmi Emily) 장빛나(Jang, Binna) 유가을(Yoo, Ga Eul)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9권 제1호, 21~3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수퍼비전 형태, 즉 개인 수퍼비전과 소집단 수퍼비전 형태에 따른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에 따라 서울 소재 대학교 음악치료학과 석사과정 재학생 중 임상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가 실시되었다. 대상자별로 개인 수퍼비전과 집단 수퍼비전이 각각 4회씩 이루어졌고, 수퍼비전 실시 후 수퍼비전 만족도 질문지(Supervisory Satisfactory Questionnaire)를 사용해 각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 평균 점수가 집단 수퍼비전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조건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만족도 세부 항목 중 필요성 충족과 전체적인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자기보고 내용에 있어 개인 수퍼비전의 경우에는 제공되는 시간의 충분함과 수퍼바이저의 개별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서술이 많았던 반면, 집단 수퍼비전의 경우에는 동료들 간의 긍정적인 교류와 시간 부족에 대한 서술이 많았다. 이와 같이 개인 수퍼비전과 집단 수퍼비전에서 충족될 수 있는 다른 필요와 장점이 있음을 보여주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음악치료 교육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는 수퍼비전 형태에 대한 고려사항이 제안되었고, 추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ceived supervisory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upervision. Twenty-six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who enrolled in a practicum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received four individual and four group supervision sessions over the course of the semester. After each supervision sess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ir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on the Supervisory Satisfactory Questionnaire(SSQ).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ratings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supervision conditions, indicating that the type of supervision would not differently affect the perception of overall supervisory satisfaction. However, a detailed analysis of ratings for each questionnaire item and comments from the participants imply that while individual supervision would be perceived to meet supervisees’ individual needs more effectively, satisfaction with group supervision would be less influenced by supervisor styles. This study would provide descriptive information of perceived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type as an initial trial toward suggesting the systematic approach to the music therapy supervision form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how effective and culturally responsive supervision format would be structured to facilitate supervision process and maximize supervision outcom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