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따른 음악활동과 음악선호 조사 연구
이용수 81
- 영문명
- A Study on the Musical Activities and Musical Preference according to Cop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황은영(Hwang, Eun-young)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9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위한 스트레스 감소 음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따라 음악활동과 음악선호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대학생 16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대처 전략, 음악활동과 음악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통 이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스트레스 대처 전략은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 소망적 사고 대처, 정서완화적 대처순이었다. 성별에 따라 대처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음악감상을 가장 많이 하고 가장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활동은 성별, 대처전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많이 하는 활동은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활동의 목적에 있어서도 악기연주의 경우 성별,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작곡의 경우는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대중음악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선호하는 장르도 성별,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선호하는 음악요인에 있어서도 멜로디, 소리크기, 가사주제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화성과 친숙도는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한편, 리듬, 음색, 감상방법에 대해서는 대처 전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musical activities and musical preference according to cop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200 students and the data of 168 was analys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roblem-solving coping was the highest, and the number of emotional-alleviate coping was the lowest. And coping strateg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music listening was the most preferred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st preferred activit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lso between active and inactive coping strategy. However, the most doing activity between music major students and non-music major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pose of playing instrumen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among academic year. Third, Korean-pop was the most preferred genr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musical elemen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 were genre, melody, loudness, and theme of lyric. Meanwhile, preferred musical elements between active and inactive coping strategy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s. There were rhythm, timbre, and medium of listening. Finally,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harmony and familiarity between music major students and non-music major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