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Physical Fitness Standard Indicators According to the Bone Age in Youth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대훈(Dae-Hoon Kim) 윤형기(Hyoung-ki Yoon) 오세이(Sei-Yi Oh) 이영준(Young-Jun Lee) 조석연(Seok-Yeon Cho) 송대식(Dae-Sik Song) 서동녘(Dong-Nyeuck Seo) 김주원(Ju-Won Kim) 나규민(Gyu-Min Na) 김민준(Min-Jun Kim) 오경아(Kyung-A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6호, 1627~16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소년의 골연령에 따른 체력을 평가하는 데 있으며, 골연령에 따른 체력 표준지표를 통해 유소년들의 균형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골연령 11세∼13세및 역연령 11세∼13세에 해당하는 7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연령 산출을 위해 X-ray 필름을 촬영한후 TW3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체격은 신장, 체중을 신장계(Hanebio, Korea, 2021), Inbody 270(Biospace, Korea, 2019)를 사용하여 총 2개의 체격 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체력은 근력(악력), 평형성 (외발서기), 민첩성(플랫테핑), 순발력(제자리멀리뛰기), 유연성(좌전굴),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 심폐지구 력(셔틀런)으로 총 7개 체력 요소의 종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PC/Program(Version 26.0) 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p< .0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1세∼13세 골연령과 역연령을 비교한 결과, 체력에서 남자는 근력, 순발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는 근력, 평형성,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골연령에 따른 유소년의 성별과 연령(11∼13세) 별로 체력평가의 기초 자료인 골연령 체력 표준지표를 개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valuate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bone age of youth, and ultimately provide basic data for balanced development of youth through physical fitness standard indicators according to the bone age. A total of 730 youth aged 11 to 13 years in bone age and 11 to 13 years in chronological age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after taking X-ray films to calculate the bone age, they were evaluated by using the TW3 method. A total of 2 components in physique, which were stature and weight, were measured using a stadiometer(Hanebio, Korea, 2021) and Inbody 270(Biospace, Korea, 2019). A total of 7 components in physical fitness were measured as well, which included muscular strength (Hand Grip Strength), balance (Bass Stick Test), agility (Plate Tapping), power (Standing Long Jump), flexibility (Sit&Reach), muscular endurance (Sit-Up),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Shuttle Run).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t-test were conducted for data processing using the SPSS PC/Program(Version 26.0), and it was considered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result of comparing the bone age and the chronological age of 11 to 13 years old in physical fitness, ma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power, muscular endurance, and cardiovasular endurance. In females, muscular strength, balance, agility, power, flexibility, muscular endurance,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physical fitness standard indicators were presented for each gender and age (11-13 years old) of youth according to the bone age; and based on this, physical fitness standard indicators, which are basic data for physical fitness evaluation according to the bone age of youth, were presented.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고찰
5.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6호 목차
- 여가스포츠 참가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효능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내적 외적 보상이 간호사의 직무 열정에 미치는 영향
- 핸드볼 선수들의 12주간 플라이휠 운동을 활용한 웨이트 트레이닝이 체력요인, 무산소성파워 및 등속성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설명모형
- 보리수 첨가에 따른 설기떡의 품질특성
- 저온 공정용 지르코니아-알루미나 복합 코팅제 연구
- 간호대학생의 DML(Debriefing for Meaning Learning)를 적용한 응급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 백출 용매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
- Flame-retarding effec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phosphonate groups attached to phosphorus flame-retarding compounds and coating binder resins
- 경두개직류자극 유뮤에 따른 골프 퍼팅 수행력 비교 분석
-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modin의 항염 및 피부장벽개선 활성 연구
- 도로 노면결빙 판정 알고리즘 연구와 알고리즘을 활용한 도로 결빙 적중률 연구
- 생물전환에 의해 생성된 Compound K의 항염증 및 독성 효과
- 중년여성의 뷰티라이프스타일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대인관계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Positive effect of Saengmaeg-san intake on blood lipid and arteriosclerosis index during high-intensity training
- 미용전공자의 VR 기반 미용 교과목 인식이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국내산 곰취(Ligularia fischen)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친환경 수분산 폴리우레탄 분야의 개발과 발전 동향
-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인식과 개발에 관한 연구
- 인간 항균펩타이드인 LL-37 유래의 FK-13의 화장품보존제로 활용에 대한 연구
-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대학생의 HPV예방교육 효과
- 국내산 블렌딩 정유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연구
- 헤어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액티브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지각된 환경적요인과 주관적 건강 및 활동적 노화의 관계
- 피부전문가들이 경험한 고객 불량행동이 감정부조화 및 서비스 사보타주에 미치는 영향
- 골프 광고 모델의 휴먼브랜드가 적합성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기 방사를 이용한 고분자/금속산화물 복합소재 기반의 투명전극 제조 및 특성 분석
- 신규간호사의 환자안전동기, 환자안전관리태도가 환자안전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nurturing beauty service talents in the post-corona era (focusing on skin care)
- 장기요양 기관 종사자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연구
-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아가콩의 추출조건 최적화
- 뷰티메이크업의 입술 디자인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소년의 골연령에 따른 체력 표준지표 개발
- 초임계 상태에서 리포좀의 생성 및 약물봉입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이중매개효과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웨어러블 로봇 기반 위상 궤적 분석을 활용한 비대칭 보행 평가: 재활 운동 전략 적용을 위한 파일럿 연구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인식, 인공지능 리터러시 및 간호정보활용역량 간의 관계분석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