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iposome Formation and Active Ingredient Capsulation on the Supercritical Condition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문용준(Yong-Jun Mun) 차주환(Joo-Hwan Cha) 김인영(I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6호, 1687~169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활성성분을 안정하게 봉입하기위해 초임계 상태에서 다중층의 리포좀을 생성하고 유효성분을 봉입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초임계 상태에서 원활하게 리포좀을 형성시 키기 위하여 식물성유래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과 그 유도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수크로 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 계면활성제를 고순도로 합성하였다. 이것을 반응조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초임계상태를 만들고 교반함으로써 거대 리포좀을 생성시키고, 여기에 제니스테인(genistein) 과 쿼세틴(quercetin)을 첨가하여 봉입하는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혼합지질계면활성제(SC-Lipid Complex)의 HLB는 12.50이었으며, 아주 낮은 농도에서도 다중층의 리포좀 소포체가 형성되었다. 이 계면 활성제의 외관은 엷은 황색의 페이스트로 특이취가 있었으며, 비중은 0.972이었고, 산가는 0.12로 고순도로 합성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SC-Lipid Complex를 사용하여 20 wt%의 카플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 이드와 트리에칠헥사노인을 사용한 유화력 실험결과 96.2 %의 유화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니스테인을 봉입한 초임계 리포좀에 대하여 투과전자현미경(Cryo-TEM)을 통해 다중층의 리포좀 소포체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니스테인이 봉입된 1차 리포좀화한 입자 크기는 253.9 nm이었고, 2 차 캡슐의 크기는 18.2 ㎛ 이었다. 제니스테인을 표준물질로 하여 초임계 상태 리포좀의 봉입효율은 99.5 %이었고, 일반적인 리포좀은 93.6 %의 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쿼세틴을 봉입한 항산화력 실험은 DPPH법으로 확인한 결과 초임계리포좀에서 유의성 있게 우수한 항산화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는 우수하나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원료를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초임계 상태에서 리포좀에 봉입하고, 고기능성의 스킨케어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두피보호용 화장품 등 다양한 제형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produce multiple layers of liposomes in a supercritical state and encapsulates active ingredients in order to stably encapsulate thermodynamically unstable active ingredients. In order to form a liposome in a supercritical state, a mixed surfactant development including vegetable-derived hydrogenated phosphatidyl choline and their delivative, hydrogenated sucrose distearate was synthesized as high purity. It describes a manufacturing method of injecting liquid carbon dioxide into a reactor to create a supercritical state and stirring to produce a giant liposome, and adding and loading genistein and quercetin. The HLB of the mixed lipid complex (SC-Lipid Complex) was 12.50, and multiple layers of liposome vesicles were formed even at very low concentrations. This surfactant had a specific odor with a pale yellow flake, the specific gravity was 0.972, and the acid value was 0.12, indicating that it was synthesized with high purity. As a result of the emulsifying capacity experiment using 20 wt% capric/capric triglyceride and triethylhexanoin using SC-Lipid Complex, it was found to have 96.2% emulsifying power. SC LIPOSOME GENISTEIN was confirmed that a multi-layer liposome vesicle was formed throug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Cryo-TEM) for the supercritical liposome encapsulated with genistein. The primary liposome particle size in which genistein was encapsulated was 253.9 nm, and the secondary capsule size was 18.2 μm. Using genistein as the standard substance,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supercritical liposomes was 99.5%, and general liposomes were found to have an efficiency of 93.6%.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experiment in which quercetin was sealed was confirmed by the DPPH method, and it was found that the supercritical liposome significantly maintained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In this study, thermodynamically unstable raw materials were sealed into liposomes without organic solvents in a supercritical stat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orms such as highly functional skincare cosmetics, makeup cosmetics, and scalp protection cosmetics.
목차
1. 서론
2. 실험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6호 목차
- 여가스포츠 참가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효능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내적 외적 보상이 간호사의 직무 열정에 미치는 영향
- 핸드볼 선수들의 12주간 플라이휠 운동을 활용한 웨이트 트레이닝이 체력요인, 무산소성파워 및 등속성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설명모형
- 보리수 첨가에 따른 설기떡의 품질특성
- 저온 공정용 지르코니아-알루미나 복합 코팅제 연구
- 간호대학생의 DML(Debriefing for Meaning Learning)를 적용한 응급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 백출 용매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
- Flame-retarding effec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phosphonate groups attached to phosphorus flame-retarding compounds and coating binder resins
- 경두개직류자극 유뮤에 따른 골프 퍼팅 수행력 비교 분석
-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modin의 항염 및 피부장벽개선 활성 연구
- 도로 노면결빙 판정 알고리즘 연구와 알고리즘을 활용한 도로 결빙 적중률 연구
- 생물전환에 의해 생성된 Compound K의 항염증 및 독성 효과
- 중년여성의 뷰티라이프스타일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대인관계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Positive effect of Saengmaeg-san intake on blood lipid and arteriosclerosis index during high-intensity training
- 미용전공자의 VR 기반 미용 교과목 인식이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국내산 곰취(Ligularia fischen)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친환경 수분산 폴리우레탄 분야의 개발과 발전 동향
-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인식과 개발에 관한 연구
- 인간 항균펩타이드인 LL-37 유래의 FK-13의 화장품보존제로 활용에 대한 연구
-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대학생의 HPV예방교육 효과
- 국내산 블렌딩 정유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연구
- 헤어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액티브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지각된 환경적요인과 주관적 건강 및 활동적 노화의 관계
- 피부전문가들이 경험한 고객 불량행동이 감정부조화 및 서비스 사보타주에 미치는 영향
- 골프 광고 모델의 휴먼브랜드가 적합성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기 방사를 이용한 고분자/금속산화물 복합소재 기반의 투명전극 제조 및 특성 분석
- 신규간호사의 환자안전동기, 환자안전관리태도가 환자안전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nurturing beauty service talents in the post-corona era (focusing on skin care)
- 장기요양 기관 종사자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연구
-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아가콩의 추출조건 최적화
- 뷰티메이크업의 입술 디자인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소년의 골연령에 따른 체력 표준지표 개발
- 초임계 상태에서 리포좀의 생성 및 약물봉입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이중매개효과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웨어러블 로봇 기반 위상 궤적 분석을 활용한 비대칭 보행 평가: 재활 운동 전략 적용을 위한 파일럿 연구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인식, 인공지능 리터러시 및 간호정보활용역량 간의 관계분석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