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차 산업 기술혁신 혁명에 대비한 군사보안 대응방안
이용수 93
- 영문명
- Military Security Countermeasures against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Innovation Revolution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김두환(Kim Doo Hwan) 백남설(Baek Nam Seol)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3권 제1호, 227~24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보안의 개념은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과거 인원보안, 통신보안, 시설보안 정도로만 이해되었던 분야에서 사회환경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이 첨가되면서 물리보안, 정보보안, 융합보안으로까지 그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무엇보다 보안의 개념은 방첩으로부터 기인한 개념이었으나, 현시점에서는 보안과 방첩 및 국가안보, 안전보장과도 같은 개념으로까지 의미와 개념의 혼재가 현존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보안과 관련한 다양한 유사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안의 개념정의를 새롭게 하고, 이를 통해 군사보안의 효율적인 대응방안을 설립하기 위하여 해킹, 사이버전 등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환경변화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군사보안이 지향해야할 방향점을 설정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군사보안의 바른 발전방향은 향후 군사보안과 관련한 효율적이고도 생산적인 논의가 진행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으며, 군과 국가발전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 이는 군사보안이야말로 한 국가의 핵심이익과 직결되는 중차대한 이슈로서, 개인이나 조직, 국가와 군에 이르기까지 절대로 실패해서는 안될 최고의 이념이자 안보테마이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추가적인 보완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security is diverse and extensive. The concept is expanding to physical security, information security and convergence security, with the addition of various technical elements along with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in areas previously understood only as personnel security, communications security and facility security. Most of all, the concept of security was derived from anti-espionage, but at this point there is a mixture of meanings and concepts to such concepts as security, anti-espionage, national security, and security assurance. Accordingly, this paper should update the concept definition of securit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various similar concepts related to security, and study the environment change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hacking and cyber warfare, to establish efficient countermeasures for military security through this paper. This right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ilitary security can lay the foundation for efficient and productive discussions related to military security in the future, and can serve as a touchstone for military and national development. This is because military security is a crucial issue that is directly linked to a nation s core interests, and is the highest ideology and security theme that should never fail, from individuals, organizations, to the state and military. We look forward to continuing further complementary research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군사보안의 이론적 배경
Ⅲ.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환경변화
Ⅳ. 군사보안 대응방안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Predicting Hotel Economic Trends Using Machine Learning and Time Series Analysis Models
- 지방의원의 대의역할 인지와 의정활동 관계 연구: 경기도 대도시 기초의회 의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and the Logic of China’s Sustainable Transformation: Focusing on Policy Discourse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