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무원의 공직가치 인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1
- 영문명
- The Effect of Public Servants Perception of public service value on innov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고대유(Dae Yoo Go)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1권 제4호, 55~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직가치는 공익을 실현하는 공무원이 가져야할 가치이자 내부 지침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공직가치가 공무원의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소홀 하였다. 이 연구는 공직가치와 혁신행동의 관계를 분석하고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 분석을 위한 자료는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2020년-한국행정연구원」 설문조사이다. 분석단위 표본은 총 4,339개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직가치는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직가치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시민행동을 통해 공직가치는 혁신행동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직가치가 혁신행동을 촉진하며, 조직시민행동이 이 긍정적 관계를 더욱 견인하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상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정책적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Public service value is an important guideline for public servant.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neglected to investigate how public service value affects public servants job attitude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value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we inte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analysis data is a survey from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s 2020 「Awareness Survey on Public job」. The total number of samples is 4,339.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service value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public service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ublic service value throug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had an indirect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is, public service value promotes innova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urther strengthens this positive relationship.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