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오피스의 NOI와 공실률 및 거시경제변수간의 동태적 연구
이용수 134
- 영문명
- A dynamic study of office opperating income,rent, and macroecomic variables: Focusing on the Seoul office market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조한국(Cho Han Kook) 김영곤(Kim, Yeong Gon)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62호, 5~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업용부동산 가치는 DCF기법의 활용으로 상업용부동산의 자체적인 기본적 NOI(순운영 소득)을 근간으로 NOI의 극대화의 중심으로 이루어져 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도심권역, 강남권역, 여의도권역, 기타권역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권역별 NOI와 공실률를 비교하였다. Granger인과검정 결과에 의하면 유일하게 공실률이 강남권역에 인과하였으며 강남권역 NOI에 외생성이 강한 변수는 거시경제변수들 중에서 고용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분검정 결과 장기균형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VECM모형을 이용하여 각각의 권역과 거시경제변수들과의 관계가 장기균형에서 벗어나는 경우 각각의 권역이 단기적으로 변화와 균형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분석을 통하여 외생변수들의 충격에 의하여 내생변수들의 반응의 정도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권역 중에서 기준금리의 충격으로 도심권역과 강남권역에서 양의 반응이 나타났다. 여의도권역에서는 고용률과 실업률의 충격 으로 음의 방향으로 하향하는 추세로 이어지고 있었으며 기타권역에서는 유동성이 장기적으로 양의 방향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실증분석되었다.
분산분해분석 결과 도심권역과 강남권역에서는 고용률, 여의도권역과 기타권역은 유동성이 장기적으로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실증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NOIs and vacancy rates of each district by classifying them into Seoul s downtown area, Gangnam area, Yeouido area, and other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Granger causal test, the only vacancy rate was causal in the Gangnam area, and the employment rate among macroeconomic variable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strong exogenous variable on the NOI in the Gangnam area.
Using the VECM model, it was found that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region and macroeconomic variables deviates from the long-term equilibrium, each region changes in the short-run and restores the equilibrium. As a result of the shock response analysis, positive responses were found in the downtown area and the Gangnam area to the shock of the base rate among each area. In the Yeouido region, the impact of the employment and unemployment rates led to a downward trend in the negative direction, and it was empirically analyzed that liquidity in other regions was rising in the long-term positive dire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decomposition, it was empirically analyzed that the employment rate in the downtown area and Gangnam area, and liquidity in the Yeouido area and other areas have a large long-term effect.
목차
Ⅰ. 서론
Ⅱ. 오피스시장의 이론적고찰
Ⅲ. 실증분석과 연구결과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시 아파트 경매 특성에 관한 지역별 비교 분석
- 상가임대인의 계약갱신 거절사유에 관한 연구
- 소유자불명 토지의 발생원인과 해소방안
- 도시재생지원센터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공공임대주택 공급체계의 이원화 방안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 강남역 상권의 코로나 전후 트렌드 분석
- 공공임대주택 특성에 따른 공급정책 개선방향 연구
- 임대주택 입주자 주거만족도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Metabus
- 오피스의 NOI와 공실률 및 거시경제변수간의 동태적 연구
- 혼합연구방법론 적용을 통한 유휴공공시설 활용 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 전월세상한제 및 계약갱신요구권에 대한 인식조사와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