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의 부모와 10대 자녀의 가사노동 비교
이용수 105
- 영문명
- A comparison of the household labor performed by parents and teenage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and dual-parent famili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고선강(Koh, Sun-Ka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5권 제3호, 13~2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differences in family structure and gender on the household labor of parents and teenagers. A total of 16,272 time diaries from the Korean Time Use Survey were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mily structure and gender on the time spent on housework by parents and teenage children. Results from two-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Differences in the hours spent on household management and caring for family members were found based on family structure and gender. Mothers in dual-parent families or multi-local families did more hours of household management work than mothers in single-parent families. The household work hours of fathers in single-parent families differed from those of fathers in multi-local families and dual-parent families. Specifically, single fathers did significantly more housework than fathers in dual-parent families. Gender and family structur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ousehold work activities of parents, especially in terms of meal preparation, cleaning, and housing management. Teenage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did more hours of household management work than those in dual-parent families, and a gender gap in the household work of teenage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was found; daughters did more household management work than sons in single-parent families, specifically in terms of meal preparation.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gender w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time spent on household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a family policy and public services to alleviate the gender gap in the performance of housework and to support the work-life balance of parents and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전통 피영희(皮影戏)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6-18을 기반으로 한 조증 척도 (CBCL-MS)의 요인구조
- 유아 놀이행동척도(PPBS-K)의 타당화 연구
- 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의 부모와 10대 자녀의 가사노동 비교
- 3D 가상의류 제작을 위한 가상원단과 실제원단의 드레이프 비교에 대한 연구
- 해양폐기물 유래 Collagen peptide를 활용한 바이오닉 나일론의 염색성
- 코로나19(COVID-19) 시대 방학 중 대학생의 식생활 및 생활습관
- 부모와의 관계가 군인 및 일반가족 아동의 문제행동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환자의 한국 병원 의료서비스 만족도 및 재이용의사 영향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