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알렉상드르 뒤마의 1859년 살롱 비평 연구
이용수 39
- 영문명
- Étude sur le Salon de 1859 d’Alexandre Dumas - Le principe de la critique et sa pratique -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이채영(Chae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97권, 93~1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잘 알려지지 않은 알렉상드르 뒤마의 살롱 비평서인 1859년 살롱전에서의 미술과 동시대 작가들 L’art et les artistes contemporains au salon de 1859(1859)을 통해 뒤마의 1859년 살롱 비평의 주요 견해와 가치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먼저 우리는 작가 뒤마가 살롱 비평가로서 어떤 원칙(비평 정신)을 가지고 당대 살롱전에 대한 비평문을 썼는지 살펴보며 1859년까지 프랑스 미술대전인 살롱전의 현실, 즉 미술계의 동향을 분석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그가 비중 있게 다루는 화가 들라크루아에 대한 견해와 그가 다루고 있는 다수의 화가들 가운데 에베르와 트루와용, 밀레에 대한 비평을 통해 뒤마 미술비평의 실제를 확인할 것이다. 이제까지 논의되지 않은 뒤마의 살롱 비평 분석을 통해 우리는 작가 뒤마의 살롱 비평가로서의 위상은 물론 그의 1859년 살롱 비평의 특징과 의미를 확인할 것이다. 이는 뒤마의 살롱 비평이 지닌 문화사와 미술사적 가치 또한 발견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S appuyant sur L art et les artistes contemporains au salon de 1859 (autrement dit, le Salon de 1859) d Alexandre Dumas, cette étude vise à examiner les principales vues et valeurs du Salon de 1859 de Dumas.
Pour cela, tout d’abord, nous envisageons l esprit critique chez Dumas en tant que critique du salon de peinture et analyserons également l’actualité des salons jusqu’en 1859.
Ensuite, nous constatons les caractéristiques et le rô̂le du Salon de 1859 de Dumas, c’est à travers les réflecxions dumasiennes sur Delacroix et les autres peintres tels que Hébert, Troyons et Millet.
Ce sera l occasion de vérifier le statut d’Alexandre Dumas en tant que critique d’art et la valeur de son Salon de 1859 dans la généalogie des Salons et l’histoire d’art du 19ème siècle.
목차
1. 들어가며
2. 뒤마의 <1859년 살롱>과 비평의 원칙
3. 뒤마의 <1859년 살롱>과 비평의 실제
4.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 파리Paris시의 도시 문화이미지 마케팅 전략 사례 연구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기입된 암 투병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