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arly Warning Score and Cancer Patients at End-of-Life
- 발행기관
- 대한임상노인학회
- 저자명
- 이재우(Jae-woo Lee) 김예슬(Ye-Seul Kim) 김용환(Yonghwan Kim) 유효선(Hyo-Sun Yoo) 강희택(Hee-Taik Kang)
- 간행물 정보
- 『대한임상노인학회지』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제22권 제2호, 67~7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ncreases, there is also a growing interest in how to organize the rest of life of the elderly. As end-of-life becomes important, predicting the last few days of end-of-lif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preparing death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ould be meaningful in a super-aged society in the futur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redict the remaining life expectancy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An early warning score (EWS) is an simple indicator aimed at detecting clinical deterioration to improve patient safety in hospitals. This was developed to quantify the abnormal levels of vital signs and patients with sudden deterioration in the early stage. EWS is closely related with short-term mortality or acute exacerbations in patients, such as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s. Therefore, applying the EWS to terminal cancer patients at end-of-life time,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auxiliary indicator to inform that the death of patients is impending.
목차
서 론
말기 암 환자 기대여명 예측
조기 경보 지수 및 유용성
말기 암환자에서 조기 경보 지수 적용 가능성
조기 경보 지수의 점수에 따른 말기 암환자 관리 및 추적관찰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 한국 노인의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시설/병원 이행의향 영향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