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저자명
- 오정주(Jeong-Joo Oh) 김규혁(Gyu-Hyeok Kim)
- 간행물 정보
- 『생명자원연구』생명자원연구 제29권, 47~5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멜라닌은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뛰어난 생물학적 색소군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은 고유한 내재적 성질로 인하여 착색제 외에도 생흡착제, 반도체, 화장품의 기능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멜라닌 생산 방법들의 수율이 극히 낮아 실질적인 산업적 응용을 저해하고 있다. 이번 리뷰에서는 멜라닌의 정의, 분류, 성질, 그리고 현재까지 알려진 생산 방법들에 대하여 요약하였다. 멜라닌 생산 방법 별 장점과 단점을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기존의 멜라닌 또는 멜라닌 유사 물질 생산 방법으로 알려진 화학적 생산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미생물을 활용한 멜라닌 생산이 친환경적이며 비용 절감 측면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산업적 규모의 멜라닌 생산을 위하여 미생물을 활용한 색소 생산에 관해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Melanin is unique class of biological pigment with immense industrial potential. Due to its intrinsic properties, it can be utilized as dermo-cosmetic ingredients, semiconductors, and biosorbents as well as colorants. However, limited production of melanin hinders the industrial applications of pigment. In this review, we compiled basic information of melanin including definition, classification, properties, and various methods for pigment producti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method were specifically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chemical-based melanin or melanin-like material production, utilization of microbial resources would be promising due to its costeffectiveness and eco-friendliness. Further studies on utilization of microbial resources should be continuously carried out for scalable melanin produc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Definition of melanin
Ⅲ. Production of melanin or melanin-like materials
Ⅳ. Industrial potential of melanin
Ⅴ. Conclusion
Ⅵ. Acknowledgments
Ⅶ.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명자원연구 제29권 목차
- 도시 목조화의 연관산업 파급효과 분석
- 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농업정책
- 비만과 유방암의 특성 및 상관관계 분석
- Cell Cycle Regulation in Response to Temperature Stress in Plants
- BLT1 and BLT2: Leukotriene B4 Receptors, Their Characteristics and Role in Various Diseases
- Production and Industrial Potential of Melanin Pigment
- 공익직불제 도입 의미와 과제
- Dipeptidyl peptidase 4 (DPP4)/CD26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BEST
- 우리나라 국가위기경보체계의 개선방향
- 식물 유전체 편집을 위한 CRISPR/Cas9의 적용
- 낙상사고를 경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 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 인간식물환경학회지(JPPE) 제28권 제4호 목차
- Building Damage Potential Assessment Based on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in Major South Korean Cities
- Effects of ACT-Based Agro-Healing Programs on Subjective Emotions: A Cross-Age Group Comparis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