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농업정책
이용수 251
- 영문명
- A Review on the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Policie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저자명
- 김건아(Kun A Kim) 양승룡(Seung-Ryong Yang)
- 간행물 정보
- 『생명자원연구』생명자원연구 제29권, 57~6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농업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정부는 다원적 기능을 바탕으로 한 공익형 직불제를 도입하였다. 다원적 기능은 농업의 생산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창출되는 긍정적 외부효과를 의미하며, 환경보전, 식량안보, 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자국의 농업을 보호할 수 있는 공익형 직불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원적 기능의 개념과 정의의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다원적 기능에 대한 연구방향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익형 직불제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mid the growing public interest in agriculture the government introduced a public-interest direct payment system based on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The multi-functionality means a positive externality effect created jointly with food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process. This inclu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environmental conservation, food security, and rural revitalization. In order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public-interest direct pay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multi-functionality. This study suggests a research direction for multi-functionality and a method for securing reliability through reviewing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also present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he newly induced public-interest direct payment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농업의 다원적 기능의 개념과 정의
Ⅲ. 다원적 기능의 세부 기능
Ⅳ. 다원적 기능의 경제적 가치평가
Ⅴ. 결론 및 함의점
Ⅵ. 사사
Ⅷ.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농업정책
- 생명자원연구 제29권 목차
- Production and Industrial Potential of Melanin Pigment
- 비만과 유방암의 특성 및 상관관계 분석
- 도시 목조화의 연관산업 파급효과 분석
- BLT1 and BLT2: Leukotriene B4 Receptors, Their Characteristics and Role in Various Diseases
- Cell Cycle Regulation in Response to Temperature Stress in Plants
- Dipeptidyl peptidase 4 (DPP4)/CD26
- 공익직불제 도입 의미와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BEST
- 낙상사고를 경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 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 심리적 데이트폭력 피해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