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외 스마트 주택의 경향 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Analysis of Trend in Smart Homes Domestic and Overseas- Focused on Furnitures Applied with Digital Technology -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오미현(Mihyun Oh) 씽양(Xing Yang) 김종서(Jong-se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29권 제3호, 125~13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and explor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homes aiming at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house environment applied with Korean digital technology. It identifies the trend of modern smart homes in South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Europe, China, and Japan, and further explores the design direction of house environment applied with digital technology for Korean characteristics and its mart homes. There are fiv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smart functions in residential places enable us to orient comfortable, safe, economical, and enjoyable life and smart homes are evolving rapidly. Second, Korean apartments show slight smart functional differences depending on brands, yet overall they apply various smart functions. Daelim E-Pyeonan Saesang apartment was found to actively aim at smart function that manages energy efficiently. Third, overseas homes showed the difference of smart functions applied according to users, the size of homes and characteristics. However, they are assumed to apply universal service functions regardless of nations. However, Japan applies safe functional service considering natural disasters. This indicates that smart functions a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Lastly, the application of smart functions oriented for enjoyable life turned out insufficient both in domestic apartment and overseas apartment cases.
목차
Ⅰ. 서론
Ⅱ. 스마트 주거환경 고찰
Ⅲ. 국내외 사례조사
Ⅳ. 결론
사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