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차광 처리가 빌레나무(Maesa japonica)의 개화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
- 영문명
- Effects of Artificial Shading on Flowering and Growth of Maesa japonica Seedlings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박민지(Min Ji Park) 서연옥(Yeon Ok Seo) 최형순(Hyung Soon Choi) 최병기(Byoung Ki Choi) 임은영(Eun Young Im) 양주은(Ju Eun Yang) 이채빈(Chae b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34권 제5호, 462~46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aesa japonica (Thunb.) Moritzi & Zoll. is a rare evergreen shrub that occurs in west Gotjawal, Jeju island,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an artificial shading on flower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 japonica seedlings. The level of shading had been set to be 35%, 55% and 75% using shading net. The stage of flowering and flowering ratio, seedling height, the number of leaves and stems, leaf area were measured. Flowering timings were delayed by shading. The number of flowering seedlings per plot and inflorescences per seedling were the most in 55% shading level. Tendency of decreased seedling height with increased shading level was shown. The number of leaves and stems were the fewest values in 75% shading level. The increased biomass with decreased shading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veground and underground biomass were 2.1 and 1.7 times higher in shading 35% than in shading 75%, respectively. Meanwhile, all seedlings in non-shading plots were dead in winter. Such might be speculated as results of the light stress. As a result, we conclude that M. japonica vitally demands the shading for growth and the optimal shading levels for growth and flowering are 35% and 55%, respectively.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사 사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의 구상나무숲 내 주요 하층식물이 구상나무 유묘 발생에 미치는 상관성 분석
- 금화규(Abelmoschus manihot) 뿌리 추출물의 면역증진 및 항비만효과
- 초석잠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활성
- 차광 처리가 빌레나무(Maesa japonica)의 개화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부채(손바닥)선인장속(Opuntia) 두 분류군의 계통발생학적 유연관계
- 정향풀의 효과적인 묘 생산을 위한 육묘법
- BALB/c 마우스에서 발효 홍삼 Ginsenoside의 생체이용율과 항염효과
- 멜론 유전자원의 생육 평가와 과육색 유전형 분석
- 적변에 따른 연근별 산양삼 생육특성과 진세노사이드 함량
- 황육계 복숭아 품종 선발용 SNP 마커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