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collaborative projects using digital media: Topic-research presentation and digital storytelling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부남(Park, Punahm) 정혜옥(Chung, Haeok)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3 No.3, 133~1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student-centered collaborative project programs using digital media for the EFL university student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program (127 students) and a topic-research presentation program (126 students) we used pre- and post-TOEIC English speaking tests. We also administrated a survey on students’ attitude towards their learning, interviewed students and observed the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students’ English speaking ability in the two programs. The score of the topic-research presentation program improved more than that of the digital storytelling program. However, the students in the digital storytelling program were more motivated to engage in the collaborative project than those of topic-research presentation program in terms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wo programs, this paper sugges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ose who want to develop and implement collaborative projects using digital media for the EFL university studen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V. 결과 및 논의
V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영어 교과서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읽기 지문 비교 분석
- Revision and the Effects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on L2 Development
- 자기평가 실시에 따른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변화
- 한국의 공손한 언동의 작동 양상
-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기능통합적 지도가 어휘 지식 및 파지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협동 프로젝트 비교
- 한국인 학습자의 프랑스어 텍스트 읽기 양상
- Investigating Topic Familiarity as Source of Testlet Effect in Reading Tests: Bifactor Analysis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만’의 의미와 기능 연구
- Proactive Approach to Grammaring in a Process-based Writing Pedagogy and Its Effects on Linguistic Accuracy
-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Designing Language Teaching Material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