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만’의 의미와 기능 연구
이용수 137
- 영문명
-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particle ‘man’ for apply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한송화(Han, Song Hwa)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3 No.3, 243~27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xamine the meanings and the discourse functions of the auxiliary particle ‘man’ in Korean texts and discourses in order to apply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3,994 examples extracted from Korean written and spoken corpus were examin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rticle ‘man’ has three meanings: (a) limits of objects, events and situation, (b) limits of scope, and (c) emphasis of degree. The particle ‘man’ has the implication of negation of all excluding the preceded words. Furthermore, the distributions of the particle ‘man’ are changeable according to its meanings and contexts. The grammatical items related the particle ‘man’ are ‘man+un (만은), man+i (만이), man+do (만도), man+uro (만으로)’ and ‘ppun+man+anira (뿐만 아니라), N+man+V+umyun (N만 V으면)’ etc., considering the degree of fossilization and transition of their meanings. The particle ‘man’ also has many discourse functions: (a) revising a hearer’s premised expectation or general premised expectation, (b) expressing a speaker’s negative attitudes towards given events or situations, and (c) serving as a discourse strategy to express a speaker’s politeness and to reduce the burdens of a hearer.
목차
I. 서론
II. 선행 논의
III. 보조사 ‘만’의 의미
IV. 보조사 ‘만’의 결합 양상과 ‘만’ 결합 문법 항목
V. 보조사 ‘만’의 담화 기능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영어 교과서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읽기 지문 비교 분석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만’의 의미와 기능 연구
- Revision and the Effects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on L2 Development
- 자기평가 실시에 따른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변화
- 한국인 학습자의 프랑스어 텍스트 읽기 양상
- Proactive Approach to Grammaring in a Process-based Writing Pedagogy and Its Effects on Linguistic Accuracy
- Investigating Topic Familiarity as Source of Testlet Effect in Reading Tests: Bifactor Analysis
-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Designing Language Teaching Materials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협동 프로젝트 비교
- 한국의 공손한 언동의 작동 양상
-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기능통합적 지도가 어휘 지식 및 파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