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ealth Risk Assessment with Source Apportionment of Ambient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Seoul by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권승미(Seung-Mi Kwon) 최유리(Yu-Ri Choi) 박명규(Myoung-Kyu Park) 이호준(Ho-Joon Lee) 김광래(Gwang-Rae Kim) 유승성(Seung-Sung Yoo) 조석주(Seog-Ju Cho) 신진호(Jin-Ho Shin) 신용승(Yong-Seung Shin) 이철민(Cheolm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7권 제5호, 384~39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 With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ontaining aromatic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benzene, toluene, and xylene that can adversely affect the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systems when a certain concentration is reached,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evaluate the source and the corresponding health risk effect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city of Seoul’s VOC reduction measures by confirming the risk of each VOC emission source.
Methods: In 2020, 56 VOCs were measured and analyzed at one-hour intervals using an online flame ionization detector system (GC-FID) at two measuring stations in Seoul (Gangseo: GS, Bukhansan: BHS). The dominant emission source was identified using the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 model, and health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on the main components of VOCs related to the emission source.
Results: Gasoline vapor and vehicle combustion gas are the main sources of emissions in GS, a residential area in the city center, and the main sources are solvent usage and aged VOCs in BHS, a greenbelt area. The risk index ranged from 0.01 to 0.02, which is lower than the standard of 1 for both GS and BHS, and was an acceptable level of 5.71×10-7 to 2.58×10-6 for carcinogenic risk.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the level of carcinogenic risk to an acceptable safe level,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reduce the emission sources of vehicle combustion and solvent usage, and eco-car policies are judg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combustion gas as well as providing a response to climate change.
목차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표지
- [편집인의 글]이번 호의 주목할 논문 - 47권 5호
- 화학물질 독성 빅데이터와 심층학습 모델을 활용한 내분비계 장애물질 선별 방법: 세정제품과 세탁제품을 중심으로
- 충청남도 해안지역의 비브리오 패혈증균 분포 및 분리주의 특성 분석
-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의 임신 마우스 위내투여에 따른 모체 및 신생자 독성평가
- 지역간 상대위험도 변동을 고려한 미세먼지 기인 질병부담 및 사회경제적 비용 추정 연구
- 환경보건종합계획을 통해 살펴본 환경보건정책: 지난 10년과 향후 10년
- 건축자재 라돈 방출률 평가를 통한 공동주택 내 라돈 기여율 평가
- HPLC-AFS를 이용한 해산물 중 비소 화학종 분리정량
- IoT 기반 지하역사 내 바이오필터시스템 설치에 따른 실내공기질 변화 및 영향 요인 분석
- 다중이용시설별 실내공기 오염물질 농도분포 및 기준치 이상 값의 구성비 조사
- 충남지역 다중이용시설의 환경수계에서 분리한 레지오넬라균의 특성 분석
- 목차
- 수용체 모델(PMF)를 이용한 서울시 대기 중 VOCs의 배출원에 따른 위해성평가
- 메탄올 작업장 노출 평가에의 EU REACH 프로토콜 적용: Targeted Risk Assessment
- 수산생물 중 유해물질의 인체 노출 및 위해평가 시스템 개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47권 제5호 목차
- [공지]온라인 저널 홈페이지 및 논문 투고 사이트 개통 안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