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HPLC-AFS를 이용한 해산물 중 비소 화학종 분리정량
이용수 44
- 영문명
- Quantification of Arsenic Species in Some Seafood by HPLC-AFS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정승우(Seung-Woo Jeong) 이채혁(Chae-Hyeok Lee) 이종화(Jong-Wha Lee) 장봉기(Bong-Ki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7권 제5호, 496~503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 Considering the expenses of and difficulties in arsenic speciation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HPLC-ICP-MS), alternative measurement methods should be useful, especially for large-scale research and projects.
Objectives: A measurement method was developed for arsenic speciation using HPLC-atomic fluorescence spectrometry (HPLC-AFS) as an alternative to HPLC-ICP-MS.
Methods: Total arsenic and toxic arsenic species in some seafoods were deter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coupled with hydride vapor generation (AAS-HVG) and HPLC-AFS, respectively. Recovery rate of arsenic species in seafood was evaluated by ultra sonication, microwave and enzyme (pepsin) for the optimal extraction method.
Results: Limits of detection of HPLC-AFS for As3+, dimethylarsinate (DMA), monomethylarsonate (MMA) and As5+ were 0.39, 0.53, 0.60 and 0.64 μg/L, respectively. The average accuracy ranged from 97.5 to 108.7%,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in the range of 1.2~16.7%. As3+, DMA, MMA and As5+ were detected in kelp, the sum of toxic arsenic in kelp was 40.4 mg/kg. As3+, DMA, MMA and As5+ were not detected in shrimp and squid, but total arsenic (iAS and oAS) content in shrimp and squid analyzed by AAS-HVG were 18.1 and 24.7 mg/kg, respectively.
Conclusions: HPLC-AFS was recommendable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of arsenic species. As toxic arsenic species are detected in seaweed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for the contribution degree of seafood in arsenic exposure.
목차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의 글]이번 호의 주목할 논문 - 47권 5호
- 수용체 모델(PMF)를 이용한 서울시 대기 중 VOCs의 배출원에 따른 위해성평가
- 메탄올 작업장 노출 평가에의 EU REACH 프로토콜 적용: Targeted Risk Assessment
- 수산생물 중 유해물질의 인체 노출 및 위해평가 시스템 개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47권 제5호 목차
- 목차
- [공지]온라인 저널 홈페이지 및 논문 투고 사이트 개통 안내
- 표지
- 지역간 상대위험도 변동을 고려한 미세먼지 기인 질병부담 및 사회경제적 비용 추정 연구
- 화학물질 독성 빅데이터와 심층학습 모델을 활용한 내분비계 장애물질 선별 방법: 세정제품과 세탁제품을 중심으로
- HPLC-AFS를 이용한 해산물 중 비소 화학종 분리정량
- 건축자재 라돈 방출률 평가를 통한 공동주택 내 라돈 기여율 평가
- IoT 기반 지하역사 내 바이오필터시스템 설치에 따른 실내공기질 변화 및 영향 요인 분석
- 다중이용시설별 실내공기 오염물질 농도분포 및 기준치 이상 값의 구성비 조사
- 충남지역 다중이용시설의 환경수계에서 분리한 레지오넬라균의 특성 분석
- 환경보건종합계획을 통해 살펴본 환경보건정책: 지난 10년과 향후 10년
-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의 임신 마우스 위내투여에 따른 모체 및 신생자 독성평가
- 충청남도 해안지역의 비브리오 패혈증균 분포 및 분리주의 특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