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2 Learners Stress and Segmental Productions of Morphological Derivatives
이용수 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Miae Park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2 No.3,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2 learners tend to encounter and use morphological derivatives more frequently as their L2 skills develop. To pronounce the morphological derivatives correctly, L2 learners have to be aware of the phonological changes occurring in the derivatives with affixation. The four phonological rules (stress shift, vowel laxing, consonant coalescence, and vowel reduction) in English, applying to morphological derivatives, a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entities that the rules affect (stress, vowels, and consonants); the number of rules (only one and more than one rule); and rule interaction (interacting and non-interacting) in L2 phonological acquisition. This study reveals that 1) the accuracy of consonant coalescence is highest although its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the accuracy of stress shift and vowel laxing var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ules; 2) stress shift and vowel laxing show different order in accuracy depending on the number of rules; 3) the three rules (stress shift, vowel laxing, and consonant coalescence) exhibit distinct behavior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rules; 4) in the interacting rules, the accuracy of the fed rule (vowel reduct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feeding rule (stress shift) while in the non-interacting rules, the accuracy of one rule appears to have no influence on that of the other rul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eaching pronunciation of the derivatives are suggested.
목차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Background
III. Research Design
IV. Results and Discussion
V. Conclusion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ffects of Vocabulary Task Types on EFL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 한국 중등교육현장 일본어과목의 평가문항에 관한 연구
- 중등교사 TEE 집중 단기 연수 교육의 효과
-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초등 영어 학습 부진 학생 어휘 지도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개인적 변인과 발음 숙달도 간의 상관성
- 교양영어 회화 강의에 대한 학생과 원어민 교수진의 인식 탐색
- 디지털 영어동화를 활용한 스토리게임반과 동화쓰기반 비교 연구
- 여성 결혼이민자의 이야기 담화 응집성 실현 양상 연구
- 영어과 원격 교사 연수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과업 유형이 한국 중학교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의 연음규칙 적용에 대한 연구
- L2 Learners Stress and Segmental Productions of Morphological Derivatives
- Explor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a Bilingual s Language Development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 도형의 닮음 이슈와 과제 변형의 관계 분석: 중등 예비교사의 제1형 딜레마 해결 전략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