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opical Organization of Small talk in Service Encounters Interaction
이용수 4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Tang Qianyu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29권 3호, 307~33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significance of small talk in institutional context has been receiving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field of sociolinguistics and communication studies. While scholars seem to agree on its social functions that facilitate the accomplishment of the institutional goal of the encounter by “oiling interpersonal wheels”, the wide r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nacted in small talk in institutional encounter has not been subject to rigorous research attention yet. By applying Conversation Analysis (CA), this study compares small talk in an on-campus coffee shop within two differ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s: new customer-barista and regular customer-barista. Data were drawn from 35 video recordings of service encounters interaction involving both native and non-native English-speaking customers at a college-sponsored café. The findings show that small talk with a new customer strictly adhered to coffee-related topics and tended to be quickly curtailed by one or both interlocutors, as suggested by the alignment of their institutional roles of barista-customer. In contrast, small talk between a regular customer and a barista consisted of exchanges on a wide variety of topic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topic of conversation is a potential indicator of relationship through a shift of alignment to the interactional roles of ‘friend-friend’.
목차
1. Introduction
2. The notion of small talk
3. Previous studies on small talk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4. Data
5. Findings
6.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의 퇴임에 대한 인식 및 퇴임 인사 표현 연구
- 한국인 대학원생과 캄보디아 유학생의 간접불평 응답전략 양상과 인식 비교 연구
- 정인보의 <오천 년간 조선의 얼>을 통해 본 ‘얼’의 사상과 ‘국어’의 사상의 관계
- 한국 국적 취득자의 한국어 능력 입증 필요성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연구
- 여성의 차별적 이미지 재현과 성차별 언어 표현의 양상
- Topical Organization of Small talk in Service Encounters Interaction
- 페루 중부 안데스 스페인어에 나타나는 모음 사이 /b, d, g/의 변이에 대한 계량사회언어학적 연구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Language of Evaluation and Stance: Chinese and Korean Newspapers Headlines on THAAD
- 프로모션 사회의 어린이 유튜브 담화 연구
- 한국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의사소통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코로나19 관련 정치 담화에 대한 비판적 담화 분석
- North and South Koreans Perception of Expressive Speech Act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