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tterns of teacher-made YouTube class videos during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민경모(Gyeongmo Min) 유준희(Junehee Yoo)
- 간행물 정보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Vol.30, No.3,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0년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코로나19로 인해 중등학교에서는 원격수업을 병행해야 했다. 원격수업 형태 중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은 2020학년도 1학기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형태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제작 유튜브 수업 영상에 대한 학생의 시청 형태를 분석하여 수업 영상 제작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중학교 1개교에서 1학기 동안 개설된 총 7과목의 171개 수업 영상을 분석한 결과, 평균 조회수는 1.40으로 수업 영상을 시청한 학생의 40%는 수업 영상을 두 번 정도 보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학생들은 수업 영상을 일과시간뿐만 아니라 평일 방과 후의 늦은 시간과 주말에도 보았다. 수업 영상이 길수록 평균 조회율과 조회 시간이 감소했다. 평균적으로 각 영상의 평균 조회율은 초반에 급격히 떨어져 전체적으로 약 40% 정도로 유지되며, 영상에서 교사가 밑줄이나 자막 등으로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구간, 화면 전환이 일어나는 구간, 문제의 답이 나오는 구간에서 시청 지속 시간이 증가했다. 이러한 전략적 시청 형태의 특징은 과목과 관계없이 나타났으며, 수업 영상 제작 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pandemic era of 2020, Korean schools were urged to run remote classes. Among the remote class types content-use-oriented type was the majority(KERIS, 2020). In this research, statistics of teacher-made YouTube classes were analyzed to figure out students viewing patterns to get implication for developing teacher-made materials. 171 videos in 7 subjects at a middle school of 363 students during the spring semester were analyzed. The average number of views for each video was 1.40,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40% out of the students who watched the videos watched more than twice per video. Students viewed videos during school hours, late night after school and even on the weekend. The longer the videos were, the lower the average viewing rate was and the shorter the viewing duration was. The audience retention fell immediately after the start, and was maintained at around 40%. However, the audience retention rose in parts where teachers used subtitles, underlined, or pointed out specific parts to emphasize, where screen transition appeared, and where there were answers to the problems. This strategic viewing patterns were shown regardless of subjects. Remote class contents should be created to suit the abo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viewing pattern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