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Body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Body Image by Personality Type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이지혜(Lee Ji Hye) 권선희(Kwon Sun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3권 제2호, 59~7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유형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신체이미지의 차이, 신체만족도가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2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외향이 내향보다 신체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모평가에서는 외향, 직관, 판단형의 외모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외모지향에서는 외향과 판단형에서 외모지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건강평가에서는 외향과 감각형에서 건강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건강지향에서는 외향과 판단형에서 건강지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체만족도가 신체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금까지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성격유형에 따라서 신체만족도와 신체이미지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신체만족도는 신체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신체만족도와 신체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성격유형을 먼저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body satisfaction and body imag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and the effect of body satisfaction on body image.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250 men and women aged 19 or older 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First, physic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extroverts than introverts. Second, in appearance evaluation, the appearance evaluation of extroverts, and intuition, and judgment types appeared higher. Appearance orientation was higher in extroverts and judgment types. Health evaluation was higher in the extroverts and sensory types and health orientation was higher in extroverts and judgment types. Third, body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body image. In the synthesis of the studies so fa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body satisfaction and body image were different, and body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body image. It can be seen that in order to improve body satisfaction and body image, individual personality types must be consider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